“캠프 캐럴·머서 토양 이상 징후”

“캠프 캐럴·머서 토양 이상 징후”

입력 2011-06-15 00:00
수정 2011-06-15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동조사단 “캐럴 일부 밀도 달라” 국방부 “머서 매질 다른 2곳 조사”

경북 칠곡 미군기지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몰 의혹을 조사하고 있는 한·미 공동조사단 관계자는 14일 “헬기장에 고엽제 드럼통과 같은 금속성이 묻혀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마그네틱 탐사에서는 별다른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땅속 토양상태를 파악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와 전기비저항검사(ER)에서는 일부 지점의 밀도 등 이상한 점이 감지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방부도 이날 “경기 부천의 옛 미군기지 캠프 머서에서 화학물질 매몰이 의심되는 장소를 탐사한 결과 주변 매질(媒質)과 다른 이상 지점 두 곳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캠프 캐럴 공동조사단 관계자는 “이르면 이번 주중 분석 결과를 중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미군이 1975년 조성했다고 밝힌 헬기장 밑 일부 지점의 밀도가 다르다는 것은 구덩이를 팠거나 추가로 흙을 메우는 등 변화를 줬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퇴역 미군이 증언한 고엽제 드럼통 매몰의 흔적이 될 수 있다. 미군이 1978년 오염물질을 묻었다가 1979~1980년 파내 어디론가 반출했다고 밝혀 드럼통이 현재 없을 것이라는 관측과도 맥을 같이한다. 조사단은 이번에 나타난 특징이 고엽제 드럼통을 묻었다 파내는 과정에서 생긴 것인지, 다른 목적으로 땅을 팠거나 흙을 메우면서 나타난 흔적인지는 심층분석을 해야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조사단은 “현장 탐사자료를 분석 중이다. 토양시추를 통해 유해물 매몰이나 오염 여부를 추가 조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매질이 다른 지점은 꼭 매몰이 아니더라도 침출수나 지하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며 “깊이는 10m 이내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번 주중 매질이 다른 두 곳의 토양 단면을 확인할 계획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토양 단면을 확인할 지점은 주한미군으로 근무했던 병사가 화학물질이 매몰됐다고 증언한 창고 주변”이라면서 “물리탐사가 창고 주변에서 주로 이뤄지기 때문에 발견된 것”이라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1-06-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