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관광객 90% 서울 들러 240만원 쓴다”

“외국관광객 90% 서울 들러 240만원 쓴다”

입력 2011-09-29 00:00
수정 2011-09-29 1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서 4.7일 체류…‘한류체험 목적’ 크게 늘어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 10명 중 9명이 서울에 들러 4.7일간 머물면서 1인당 240만원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7월14일부터 8월10일까지 외국 관광객 1천명을 대상으로 ‘2011 서울방문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29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한 외국관광객의 90.1%가 서울을 찾았으며 방문 목적은 여가ㆍ위락ㆍ개별휴가가 83.9%를 차지했다.

특히 ‘한류문화 체험을 위해 방문했다’는 답변은 지난해 14.7%에서 40.6%로 늘었다.

체재 기간은 평균 7.7일이며 이 중 4.7일을 서울에서 머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일본이나 중국 관광객의 서울 체재 기간은 3~4일로 미국이나 유럽 관광객의 7~10일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내 방문지로는 명동(55.1%), 남대문시장(47.3%), 동대문시장(42.3%), 인사동(39.9%), 서울광장(18.7%) 순이다.

서울에서의 주요 활동을 묻는 말에 관광지 방문(70%), 쇼핑(64.6%), 식도락 관광(36.7%), 유흥ㆍ오락(13.4%) 순으로 답했다.

주요 쇼핑품목은 의류(41.9%), 향수ㆍ화장품(37.7%), 식료품(34.3%) 순이며 쇼핑장소로는 공항면세점(43.8%), 명동(42%), 남대문시장(32%), 백화점(31.9%) 등이다.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의 1인당 지출액은 2천33달러(약 240만원)이며 개별관광객(2천266달러)이 단체관광객(1천674달러)보다 더 많이 썼다.

전 세계 관광산업의 큰 손으로 떠오른 중국 관광객은 올해 8월까지 전년대비 14% 많은 144만명이 한국과 서울을 방문했다. 1인당 2천195달러(262만원)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1천641달러(196만원)인 일본관광객을 압도했다.

관광객들은 주로 사대문 안 도심(54%), 강남ㆍ잠실ㆍ영등포 등 부도심(29%)에 있는 호텔(65.4%), 모텔ㆍ여관(18.5%), 친척ㆍ친구집(11.1%), 유스호스텔ㆍ게스트하우스(6.5%)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71.7%였다. 항목별로는 시설(70.4%), 위생(69.3%), 식사(68.3%), 위치(67.7%)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지만 가격에 대한 만족도(63.7%)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여행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한다’는 응답은 81%였다. 항목별로는 음식(3.95)과 쇼핑(3.93)에 대해서는 만족한 반면 의사소통(3.61)은 상대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방문 관광객의 76.1%가 ‘방문 후 서울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졌다’고 답변했으며 ‘관광 목적으로 다시 방문하겠다’는 사람도 79.2%였다. ‘다른 사람에게 서울을 추천할 의향이 있다’는 답변은 81.1%에 달했다.

이노스텔, 모텔 등 일반 숙박시설 소유주(관리자) 389명을 대상으로 한 숙박 실태조사 결과 1개소의 월평균 이용객 수는 1천487명으며 이 중 외국 관광객은 13.9%인 207명이다.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이하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이 12일 ‘서울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위 구성 결의안은 급성장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을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전략 마련을 위해 발의됐으며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는 에너지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기차·데이터센터·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심 밀집 구조 속에서 전력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32년 만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신설을 추진하는 중앙정부 개편에 발맞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