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교폭력 등 범죄지도 공개…논란 예고

성·학교폭력 등 범죄지도 공개…논란 예고

입력 2013-04-05 00:00
수정 2013-04-05 1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권리·범죄예방” vs “사생활 침해·지역갈등”

정부가 2015년부터 성폭력과 학교폭력 등의 발생 현황을 지역별로 비교할 수 있는 생활안전지도(범죄지도)를 공개하기로 함에 따라 찬반 논란이 예상된다.

외국의 사례 등을 봤을 때 범죄지도 공개는 지역범죄율 감소 등 범죄예방 효과가 있지만, 피해자의 사생활이나 개인정보 침해, 지역간 갈등, 집값 하락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5일 안전행정부와 국회 입법조사처 등에 따르면 일본은 2003년 도쿄 경시청이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범죄지도를 공개한 뒤 다른 지역에서도 범죄지도를 서비스하고 있다.

도쿄경시청은 현재 범죄발생지도, 범죄정보지도, 교통사고발생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은 주민들이 거주지역별 최신범죄 정보, 범죄유형, 범죄율 등을 검색할 수 있는 온라인범죄지도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시켰다. 런던 경찰국은 2008년부터 홈페이지에 인터넷 범죄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샌프란시스코가 범죄발생지도를 만들어 범죄발생률을 줄이는 효과를 낸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샌프란시스코는 과거 8년간 범죄가 발생했던 지역과 유형을 세밀하게 분석해 후속 범죄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범죄를 사전예보한 결과, 예보 정확도가 71%에 달했다. 범죄가 예보된 10곳 중 7곳에서 실제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제한된 경찰인력으로 광범위한 영역을 순찰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결과를 나았다.

이같이 범죄지도를 일반에 공개하면 주민의 알권리가 충족돼 범죄예방에 도움을 주고, 지역범죄율 감소 등 범죄예방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반면 범죄지도의 일반공개는 피해자의 사생활이나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 있고 치안불안지역이 다른 지역과 비교 공개되면 지역 간 갈등을 일으키거나 집값 하락을 우려한 주민 반발, 지자체장의 정치적 반대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행부는 이에 따라 먼저 산불이나 산사태 위험지역, 성범죄자 거주지 등 이미 공개된 범죄지도정보를 통합한 생활안전지도를 내년에 일부 시·군·구 지역에서 시범실시해 효과를 분석하고 나서 2015년부터 실시범위를 전국으로 늘리고 공개분야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박찬우 안행부 제1차관은 “시행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문가들에게 자문하는 등 심층 검토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