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9월 착공 예정…공사비 249억원 반영 불투명
경기도의 재정위기로 광교신도시 신청사 건립도 중대 갈림길에 섰다. 수백억원의 공사비 확보가 녹록지 않아 내년 착공이 불투명하다.28일 도에 따르면 광교신도시 내 5만9천㎡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25층, 연면적 10만1천879㎡ 규모의 신청사를 짓기로 하고 내년 2월 설계를 마칠 예정이다.
설계비 130억원 가운데 99억원이 확보됐고 나머지 31억원은 내년 예산에 반영된다.
설계가 마무리되면 반년 이상 계약심사와 입찰 등의 행정절차를 거치게 돼 내년 9월은 돼야 착공할 수 있다. 순조롭게 진행되면 2017년 8월 준공된다.
공사비는 내년(9∼12월) 249억원, 2015년 744억원, 2016년 744억원, 2017년(1∼8월) 498억원 등 모두 2천235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그러나 도의 재정난으로 당장 내년 공사비 249억원의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도는 올해 4천500억원 이상의 세수결함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3천875억원을 감액한 1차 추경예산안을 짰다.
내년에도 올해 본예산과 비교, 5천139억원의 쓰임새를 줄이기로 했다. 여기에는 무상급식 관련 예산 874억원을 포함해야 할 정도로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에 직면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내년에 줄일 수 있는 모든 세출을 줄이겠다는 것이 도의 방침이라 신청사 공사비 249억원의 본예산 반영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설계 중단에 따른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의 저항을 경험했던 터라 쉽게 공사비를 삭감할 수도 없지만, 광교 입주민만을 위해 공사비를 집행할 경우 내년에 사업예산이 깎이는 다른 지역 주민이나 단체의 반발도 우려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249억원 가운데 일부만을 반영할 수 있지만 ‘꼼수’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내년 본예산에 공사비가 포함되지 않으면 행정절차 등을 감안해 착공은 2015년 6월로 늦춰지게 되고 그만큼 준공도 연기된다.
도는 지난해 4월 세수급감을 이유로 광교 신청사 설계작업을 중단했다가 감액추경까지 이르지 않는다고 판단, 같은해 11월 재개했다. 이 과정에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은 김문수 지사를 사기분양과 직무유기 혐의로 고소하고 규탄집회를 여는 등 도를 압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