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93%,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한다”

“부모 93%,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한다”

입력 2013-09-10 00:00
수정 2013-09-10 07: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명 6명이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골머리’…평균 69분 써”

부모 10명 중 9명은 아들·딸이 사용시간을 제한하는 방식 등으로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전문기업 ‘윤선생’이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4일까지 자사 인터넷 커뮤니티 ‘윤스맘’ 회원 6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2.9%가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제재를 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고 10일 밝혔다.

제재 방법은 ‘이용시간을 제한한다’는 답변이 62.6%(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규칙·조건을 붙여서 이용하게 해준다’( 58.9%), ‘사전에 허용한 앱만 이용하도록 한다’(32.1%), ‘선불요금제 등으로 사용량을 제한한다’(16.6%),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둔다’(15.5%) 등이 뒤를 이었다. ‘부모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수시로 감시한다’는 응답도 3.4% 나왔다.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부모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59.6%에 달했다.

이들은 ‘자녀가 스마트기기에 점점 집착하는 행동을 보여서’(67.7%), ‘구부정한 자세 및 나빠질 시력이 걱정돼서’(62.1%), ‘너무 어린 나이부터 스마트기기를 접하는 것 같아서’(36.4%), ‘유해 콘텐츠에 접속할까 불안해서’(33.0%), ‘학습·생활에 방해되는 것 같아서’(30.6%)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응답자 중 자녀가 스마트기기를 가진 경우는 전체의 43.4%를 차지했다.

이들이 가진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이 89.9%로 가장 많았고, ‘스마트패드’는 15.5%, ‘스마트학습기’는 4.4%였다.

주로 사용하는 기능은 놀이·게임(77.4%), 동영상(49.1%), 전화·문자(41.0%), 카카오톡 등 채팅(29.9%), 어학학습(15.9%),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14.4%) 순으로 나타났다.

하루평균 사용시간은 69분가량으로 추산됐다. 시간대별로는 30분 이상∼1시간 미만이 34.7%로 가장 많았고, 30분 미만 31.0%, 1시간 이상∼2시간 미만 20.7%였다. 5시간 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1.5%가 나왔다.

응답자 자녀의 연령대는 초등학생이 446명으로 가장 많았고, 미취학 아동이 175명, 중학생 이상이 65명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