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고장?”…PC수리업체가 악성프로그램 심어 ‘영업’

“또 고장?”…PC수리업체가 악성프로그램 심어 ‘영업’

입력 2014-04-08 00:00
수정 2014-04-08 14: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객 1만300명 등친 업체 대표 등 66명 검거

서울 수서경찰서는 고객이 수리를 맡긴 컴퓨터에 몰래 부팅 방해프로그램을 깔아 놓는 수법으로 부당하게 데이터 복구 비용 등을 챙겨온 혐의(사기 등)로 컴퓨터수리업체 전 대표 이모(31)씨 등 4명을 구속했다고 8일 밝혔다.

경찰은 또 이 업체의 현 대표 정모(34)씨와 콜센터 직원, A/S 외근기사 등 62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컴퓨터 전문 수리업체를 운영하면서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고객이 맡긴 컴퓨터에 부팅을 방해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해 고장이 나도록 한 뒤 하드디스크 등을 교체해주는 수법으로 1만300명으로부터 21억5천800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수리 중인 컴퓨터에 일부러 부팅 방해프로그램을 깔고도 “바이러스가 많아 복구가 힘들 것 같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라는 말을 흘려서 수리를 마치고 나서도 또다시 부팅이 안 되는 고장이 재발한 데 대한 고객의 의심을 피해왔다.

조사결과, 이들은 경기도 성남시 복정동에 컴퓨터 전문 수리업체인 ‘**119’를 차려놓고 콜센터·경리·A/S 내·외근팀 등을 구성해 조직적으로 범행에 나섰다.

이씨 등 전·현직 대표가 A/S 팀장에게 ‘컴퓨터 부팅 방해 프로그램을 실행해 데이터 복구 비용을 청구하라’는 지시를 내리면 A/S 팀장이 수리 기사들에게 해당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방식이었다.

이들이 범행에 쓴 부팅 방해프로그램은 ‘MBR 위저드’로, 부팅을 담당하는 C드라이브를 삭제하거나 숨겨 컴퓨터가 부팅될 수 없도록 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MBR(Master Boot Record)은 컴퓨터 부팅 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로, 이 부분이 훼손되면 부팅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부팅을 불가능하게 만든 뒤 고객으로부터 데이터 복구 비용으로 최소 5만원부터 최대 660만원까지 뜯어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일당 중에는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도 부품비를 허위로 청구하거나 부품단자를 송곳으로 찍어 손상한 뒤 부품비를 청구하는 수법을 써 월 1천300만원을 챙긴 고수익자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이 운영하는 수리업체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파워링크 1∼2위를 다투고 지난해 매출 50억원, 광고비용 월 1억7천만원에 이르는 등 업계에서 인지도가 높은 편이라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컴퓨터 수리를 맡길 때에는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부품 명과 가격 등 사전정보를 숙지하고 여러 업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며 “피해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동종 업계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