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여객선 침몰 참사] 두 집 건너 한 집꼴 실종… “전쟁 나도 이런 참변 없을 것”

[진도 여객선 침몰 참사] 두 집 건너 한 집꼴 실종… “전쟁 나도 이런 참변 없을 것”

입력 2014-04-19 00:00
수정 2014-04-19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생 85% 거주 고잔동·와동·선부동

“온 동네에 초상이 났습니다. 전쟁이 나도 이런 참변은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18일 단원고교를 낀 경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일대엔 적막감이 감돌았다. 수학여행에 나섰던 이 학교 2학년 학생 323명 중 상당수가 여객선 침몰로 한꺼번에 실종됐거나 사망했기 때문이다. 탑승자 476명 가운데 단원고 학생과 교사는 전체의 71%인 337명이다. 이 때문에 학교 주변에선 학생들의 떠들썩한 목소리가 사라졌고 주민과 상인들은 어두운 표정을 감추지 못한다. 한 편의점 주인은 “아르바이트하던 학생이 실종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어려운 가정 형편상 하루 4시간씩 열심히 일하던 모습을 떠올리면 뼈아프다”며 고개를 저었다.

이번 사고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3개 동이다. 수학여행에 나섰던 단원고 학생 가운데 고잔동에 109명, 와동에 97명, 선부동에 70명이 산다. 3곳이 85%를 차지한다. 이곳은 1980년대 초 안산신도시가 건설될 당시 신축된 연립·다가구주택이 밀집된 대표적인 서민 주거 지역으로 대부분 70㎡ 이하 소형이며 기초생활수급자 등 어려운 이웃이 많이 살고 있다. 특히 가장 큰 피해를 본 고잔1동의 경우 9100여 가구, 2만 3000여 주민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소년소녀가장 등 각종 지원을 받는 주민이 3500여명에 이른다. 주민들은 사고 이후를 더 우려한다. 한 주부는 “마음이 너무 아파 잠을 이룰 수 없다. 학부모들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이라며 울먹였다. 한 주민은 “두 집 건너 한 집꼴로 피해를 당했다. 어른들의 무책임 때문에 아직 꽃도 피워 보지 못한 채 불귀의 객이 됐다”며 “이번 사태로 가장 큰 피해를 당한 안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피해자들을 도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탑승자 중 다수를 차지하는 단원고 주변 원곡고교에 18일 오후부터 청소년 상담사 9명을 투입해 2학년생을 대상으로 슬픔을 조절하고 정서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반별 교육 및 상담을 진행했다. 단원고 피해 학생들과 중학교를 함께 다니는 등의 인연을 가진 학생들이 전날부터 울음을 참지 못하는 등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자 학교 측이 경기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지원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상담사들은 교사들에게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을 도울 수 있도록 스트레스 대처 방안 등을 교육했다. 여가부는 우선 신길고, 선부고, 강서고 등 주변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상담 지원을 해 나갈 계획이다.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 등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다음 주부터 심리상담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4-04-1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