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상 ‘로저 멜로’ 남이섬서 그림책 전시회

안데르센상 ‘로저 멜로’ 남이섬서 그림책 전시회

입력 2014-04-30 00:00
수정 2014-04-30 1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동문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상의 2014년 수상작가 로저 멜로(Roger Mello)의 특별 전시회가 내달 3일부터 6월 30일까지 남이섬 산딸나무길에서 열린다.

이미지 확대
안데르센상 수상자 로저 멜로의 작품
안데르센상 수상자 로저 멜로의 작품 아동문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상(Hans Christian Andersen Awards)의 2014년 수상작가 로저 멜로(Roger Mello)의 특별 전시회가 내달 3일부터 6월 30일까지 강원 춘천 남이섬에서 열린다. 사진은 브라질 출신 일러스트레이터 로저 멜로의 작품
연합뉴스




2014 안데르센상 수상자 ‘로저 멜로’
2014 안데르센상 수상자 ‘로저 멜로’ 아동문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상(Hans Christian Andersen Awards)의 2014년 수상작가 로저 멜로(Roger Mello)의 특별 전시회가 내달 3일부터 6월 30일까지 강원 춘천 남이섬에서 열린다. 사진은 브라질 출신 일러스트레이터 로저 멜로.
연합뉴스


브라질 출신인 로저 멜로는 세계 30여 개국에서 작품을 출판한 유명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극작가다.

지난 2010년 세계 22개 나라의 작가가 공동 제작한 그림책 ‘평화 이야기’에 브라질 대표작가로 참여하는 등 현재까지 100여 편의 작품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 중 ‘저편의 꽃’(The Flower on the Other Side), ‘조심해야 해’(You Can’t Be Too Careful!), ‘맹그로브 소년’(Mangrove Boys)은 브라질에서 어른이 되기 전에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남이섬이 주최한 ‘제1회 나미콩쿠르’(NAMI CONCOURS)에 심사위원으로 참석한 바 있다.

한편, 2005년부터 세계책나라축제를 개최하는 남이섬은 2009년부터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상의 공식 후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안데르센상은 1956년부터 국제아동도서협의회(IBBY)가 2년에 한 번씩 아동 문학 발전에 기여한 글 작가와 그림 작가를 선정해 주는 상이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