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유병언家’, 사이비 종교 논란 이어 미디어사업 진출까지 시도 의혹

<세월호참사> ‘유병언家’, 사이비 종교 논란 이어 미디어사업 진출까지 시도 의혹

입력 2014-05-01 00:00
수정 2014-05-01 14: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8년 5월부터 민심일보 이름으로 닷컴·닷넷 도메인 등록

세월호 선사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인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가 2008년부터 언론사 설립을 추진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어 관심을 끈다. 이들은 ‘민심일보’(minsimilbo)라는 영문 이름으로 닷컴(.com)과 닷넷(.net) 모두에 도메인 등록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미지 확대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연합뉴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연합뉴스
30일(현지시간) 미국의 인터넷 도메인 등록 현황을 보면 유 전 회장의 차남과 같은 이름인 ‘유혁기(Yoo Hyuk Kee)’ 명의로 약 50개 정도의 도메인이 등록돼 있다. 사용된 이메일 주소의 일부에는 ‘유’(Yoo)가 아닌 ‘류’(Ryu)가 사용되기도 했다.

특히 등록된 도메인 가운데는 일부 외국에서 사진가로 알려진 유 전회장이 사용한 ‘아해’(ahae)라는 명칭과 동일한 아해닷컴(ahae.com)도 포함돼있다. 이에 비춰 도메인 등록에 사용된 ‘Yoo Hyuk Kee’라는 영문 이름은 유 전회장의 차남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실시된다.

눈에 띄는 것은 등록한 도메인 가운데 ‘민심일보닷컴’(minsimilbo.com)과 ‘민심일보닷넷’(minsimilbo.net)이라는 이름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들 도메인은 유 전회장의 차남과 같은 이름으로 2008년 5월 등록을 신청한 뒤 2012년에 다시 등록했다. 등록 당시 사용한 주소지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XX-X번지’로 돼 있다. 이에 따라 사이비 논란을 빚었던 종파와 관련이 있다는 논란을 일으켰던 유 전 회장 측이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언론사 진출까지 시도한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다만 등록된 민심일보닷컴과 민심일보닷넷이라는 주소의 웹사이트는 등록만 됐을 뿐 실제 운영되지는 않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