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촌지하차도 동공, 시공사 과실로 잠정 결론

석촌지하차도 동공, 시공사 과실로 잠정 결론

입력 2014-08-22 00:00
수정 2014-08-22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사단 “품질 관리 실패가 지반침하 직접 원인”

석촌지하차도 아래 지하에서 무더기로 발견된 동공(洞空. 빈 공간)은 터널을 뚫은 시공사의 과실 때문에 발생했다는 잠정적인 결론이 내려졌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조사단이 지난 14일 송파구 석촌지하차도 싱크홀 현장에서 도로 밑에 생긴 폭 5~8m, 깊이 4~5m, 길이 80m의 동공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시 조사단이 지난 14일 송파구 석촌지하차도 싱크홀 현장에서 도로 밑에 생긴 폭 5~8m, 깊이 4~5m, 길이 80m의 동공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22일 “지하에서 터널 공사를 진행하던 시공사가 공사 품질 관리에 실패한 것이 동공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서울시가 전문가로 구성한 조사단의 단장을 맡고 있다.

그는 “삼성물산 등 시공사가 실드(Shield) 공법을 채택했으나 시공능력이 부족했다”며 “공사를 하면서 애초에 계획한 양보다 많은 흙을 지상으로 배출한 것이 조사결과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는 “시공사는 석촌지하차도 밑에서 공사를 진행할 때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이미 알고 있었고 비상 매뉴얼도 만들었는데도 공사 관리에 실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하철 9호선 3단계 공사는 ‘턴키’(일괄 발주) 방식으로 진행됐다. 해당 구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시공사가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길이가 490m인 석촌지하차도 밑에서는 8월 한 달간 7개의 동공이 발견됐고, 이들 동공의 연장 길이를 합치면 135m에 달한다.

동공의 7∼8m 아래에서는 삼성물산 등 3개 시공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드 공법으로 터널을 뚫어왔다.

실드 공법은 공업용 다이아몬드 수십 개가 박힌 원통형 기계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수평으로 굴을 파고들어가는 방식이다.

이때 갈린 흙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기계 뒤로 나온 뒤 지상으로 배출된다.

조사단은 시공사가 예상 배출량보다 더 많은 흙이 실드 기계 안으로 들어왔는데도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공사를 계속 진행, 동공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기계 부품 교체 시 지하수 침투와 지반 침하를 막기 위해 특수 용액으로 터널 표면을 단단하게 만드는 ‘그라우팅’ 작업이 진행되는데, 이 공사가 불완전했고 이 때문에 압력에 취약한 천장 부분에서 흙이 쏟아져 들어왔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7개 동공 중 연장이 80m에 이르는 동공 아래에서는 그라우팅과 부품 교체를 위해 쉴드 기계가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4개월간 멈춰 있었다.

삼성물산은 이에 대해 “동공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상한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 회사는 실드 기계에서 빠져나간 흙의 양을 기록할 때 컨베이어 벨트 위로 이동하는 흙을 스캔(scan)하는 방식으로 양을 계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단의 최종 결론은 내주 초 발표된다. 서울시는 같은 날 석촌지하차도 복구 방안 등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