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급감한 연평도’포격’ 안보교육장도 썰렁

관광객 급감한 연평도’포격’ 안보교육장도 썰렁

입력 2015-01-08 10:45
수정 2015-01-08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3년 필수 코스…지난해 연평도 관광객 절반만 찾아

세월호 사고 여파로 지난해 서해 북단 연평도 관광객이 크게 줄자 이 섬의 안보교육장을 찾은 방문객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연평도 안보교육장은 북한의 포격 2주기를 맞아 2012년 11월 피폭 현장 인근에 지어졌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안보교육장(608㎡)은 4개의 전시실을 비롯해 방공호체험실, 시청각실, 수장고 등을 갖췄다.

그 옆 피폭건물 보존구역(539㎡)에는 연평도 포격 당시 파손된 개인 주택 3동이 처참했던 당시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연평도 포격 이후 이 섬을 찾는 관광객이 늘자 2013년 1만6천 명이 안보교육관을 찾았다.

재향군인회, 해병전우회, 방위협의회, 공군사랑회, 6·25 참전용사모임 등 보수단체의 방문도 잇따랐다.

그러나 지난해 4월 세월호 사고 여파로 인천에서 2시간 이상 배를 타야 하는 연평도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안보교육장에도 여파가 미쳤다.

북한의 포격 사태가 일어난 2010년 연평도를 찾은 관광객은 2만2천700여 명에 그쳤으나 이듬해에는 3만5천여 명이 방문했다. 54%가량 급증한 것이다.

이후 2012년 2만500명, 2013년 2만4천 명을 기록해 예년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난해에는 1만9천 명으로 뚝 떨어졌다.

이 때문에 지난해 연평도 안보교육장에는 2013년보다 39%가량 줄어든 1만 명이 다녀가는 데 그쳤다.

성인 방문객이 4천여 명 줄었고 학생 방문객도 1천700명가량 감소했다.

또 개장 첫해인 2013년에는 사실상 안보교육장이 연평도를 방문한 관광객의 필수 코스여서 외부 입도객 대비 교육장 방문객 비중이 70%대였다. 그러나 지난해엔 이 비중도 51%로 뚝 떨어졌다.

옹진군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세월호 사고 영향으로 섬 지역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안보교육장 방문객 수도 감소했다”며 “올해 예산 10억원을 투입해 연평도에 평화공원과 둘레길을 조성하는 등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추경 예산 증액 확보 보고…서울시 108억원·서울시교육청 160억원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제331회 정례회에서 2025년도 제1차 추가경정예산 중 강동구는 서울시 시설투자사업 108억 8000만원 및 서울시교육청 160억 1000만원이 증액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해당 예산은 지난 6월 27일 열린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됐다. 박 의원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현안과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예산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번 추경을 통해 편성된 서울시 시설투자사업예산은 ▲강동 광역자원순환센터 재활용품 선별시설 설치 6천 900만원 ▲시공원 유지관리 및 보수정비(상일동 명일근린공원) 2억원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암사동) 2억원 ▲자전거도로 유지보수(강일동) 1억원 ▲한강생태공원 재정비(고덕동) 1억 2000만원 ▲광나루한강공원 특성화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암사동) 1억원 ▲지하철역 승강편의시설 설치(길동) 3억원 등 총 12개 사업 108억 8000만원이다. 서울시교육청 예산도 다수 반영되었다. ▲강솔유치원 어린이놀이시설 개선 3600만원 ▲강현유치원 어린이놀이시설 개선 2억 4900만원 ▲강빛초 모듈러 사업비 10억 원 4800만원 ▲고덕초 모듈러 사업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추경 예산 증액 확보 보고…서울시 108억원·서울시교육청 160억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