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오존농도 실제 2% 더 높다” <표준과학연>

“대기 중 오존농도 실제 2% 더 높다” <표준과학연>

입력 2015-03-30 13:59
수정 2015-03-30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으로 규명…오존측정 신뢰성 향상”

이미지 확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대기환경표준센터 이상일 박사팀과 국제도량형국(BIPM) 비알론 박사팀이 종전보다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을 구해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실제로 2% 정도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이 박사팀이 오존 표준기준기 성능 향상 및 교정 시험을 하는 모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대기환경표준센터 이상일 박사팀과 국제도량형국(BIPM) 비알론 박사팀이 종전보다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을 구해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실제로 2% 정도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이 박사팀이 오존 표준기준기 성능 향상 및 교정 시험을 하는 모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대기환경표준센터 이상일 박사팀과 국제도량형국(BIPM) 비알론 박사팀이 종전보다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을 구해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실제로 2% 정도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30일 밝혔다.

기본적으로 오존 측정은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오존이 가장 잘 흡수하는 파장의 자외선(253.65nm)을 일정량 쏘면 오존에 흡수해 줄어드는 데 그 양을 측정, 계산하면 오존 농도를 구할 수 있다.

광학거리 등 다른 변수도 있기는 하지만 오존에 흡수되는 자외선 비율인 흡수단면적 값은 오존 농도의 정확도를 저해하는 가장 큰 불확도(측정값의 불확정한 정도) 요인으로 꼽힌다.

이 박사팀은 이번에 새로운 흡수단면적 값에 대한 불확도를 2.2%에서 0.86%로 줄이는 데 성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대기 중 오존 농도를 측정, 실제 오존농도 값이 지금보다 2% 정도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 측정을 위해서는 재료가 되는 고순도 오존을 빨리 만들고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방해 물질인 불순물의 영향을 최소화해 고순도 오존의 자외선 흡수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박사는 보통 하루가 걸리던 오존 생산시간을 2∼3시간으로 줄였을 뿐 아니라 새로 개발한 ‘증발-응축 순환방법’으로 오존에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등 관련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했다.

새로운 오존 흡수단면적 값을 기준값으로 채택해 적용하면 오존 측정의 신뢰도가 향상돼 오존 피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고 이 박사는 설명했다.

이 박사는 “이번 연구는 오존 농도 측정 시 가장 큰 불확도 요인을 해결한 것으로, 오존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기측정 관련 저널인 ‘AMT(Atmos. Meas. Tech)’ 온라인판 3월 13일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