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비정규직노조 부산울산지부, 부산비정규노동센터, 부산여성회 등은 3일 오전 11시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가족부가 아이돌봄 서비스 축소 방침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여성가족부는 올해 아이돌봄 서비스의 가구당 서비스 시간을 720시간에서 480시간으로 줄이는 바람에 저소득 맞벌이 가정이 육아 문제로 힘들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또 “아이돌봄 교사들의 월 근무시간도 60시간 이하로 줄어 4대 보험과 퇴직금 혜택이 사라질 위기”라며 “지난해에는 교사 교통비마저 삭감해 실질 임금이 10만∼20만원가량 줄어드는 등 근로여건이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비정규직노조 부산울산지부 관계자는 “아이돌봄 서비스 축소는 경력 단절 여성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저소득 맞벌이 가정에는 육아 서비스를 제공해 출산을 장려한다는 정책의 기본 취지를 망각한 처사”라고 말했다.
아이돌봄 지원사업은 만 12세 이하의 자식을 둔 맞벌이 가정 등에 아이돌보미 교사가 방문해 아동을 돌봐주는 서비스다.
연합뉴스
이 단체는 “여성가족부는 올해 아이돌봄 서비스의 가구당 서비스 시간을 720시간에서 480시간으로 줄이는 바람에 저소득 맞벌이 가정이 육아 문제로 힘들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또 “아이돌봄 교사들의 월 근무시간도 60시간 이하로 줄어 4대 보험과 퇴직금 혜택이 사라질 위기”라며 “지난해에는 교사 교통비마저 삭감해 실질 임금이 10만∼20만원가량 줄어드는 등 근로여건이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비정규직노조 부산울산지부 관계자는 “아이돌봄 서비스 축소는 경력 단절 여성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저소득 맞벌이 가정에는 육아 서비스를 제공해 출산을 장려한다는 정책의 기본 취지를 망각한 처사”라고 말했다.
아이돌봄 지원사업은 만 12세 이하의 자식을 둔 맞벌이 가정 등에 아이돌보미 교사가 방문해 아동을 돌봐주는 서비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