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환자와 같은 목욕탕 이용한 103명 신원파악에 전력
대구시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바이러스 평균 잠복기를 고려해 22일까지가 지역 메르스 확산 여부를 가늠할 첫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또 지역 첫 확진환자 A씨(52)가 발병 후 들른 목욕탕 이용객 266명 중 신원이 확인되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103명의 행방을 찾는데 힘을 쏟고 있다.
21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한·발열 등 증세를 보인 A씨는 다음날인 14일 오후 1시47분∼오후 3시9분까지 남구 한 목욕탕을 이용했다. 그 뒤 15일 A씨는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는 지난달 27∼28일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했다.
지역 첫 확진환자가 발생하자 비상이 걸린 시는 경찰과 폐쇄회로(CC)TV를 분석해 목욕탕 이용으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266명을 추렸다.
범위는 지난 14일 오전 11시부터 목욕탕 폐쇄 시점인 15일 오후 7시까지로 한정했다.
이용 시간대에 따라 62명을 자가격리자(14일 오전 11시∼오후 4시)로, 나머지 204명을 능동관찰자(14일 오후 4시∼15일 오후 7시)로 각각 분류했다.
하지만 CCTV 화질 불량 등 이유로 현재까지 신원을 파악한 뒤 분류별 조치를 한 인원은 61% 정도인 163명(자가격리 33·능동관찰 130)에 그치고 있다.
시는 메르스 바이러스 평균 잠복기가 6∼7일인 점을 감안하면 늦어도 오는 22일 안에 목욕탕 이용객 266명 중에서 메르스 발병 증세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문제는 신원확인 후 자가격리·능동관찰 중인 대상자 163명의 경우 즉각 조치를 할 수 있지만, 신원 미확인자 103명은 발병 후에야 동선 등이 파악 가능하다는 점이다.
현재 시는 해당 목욕탕 인근에 자진 신고를 독려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CCTV에 찍힌 당사자별 얼굴을 출력해 탐문하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A씨는 ‘목욕탕 이용 당시 주변에 10여명이 있었다’고 진술했다”며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선 이들을 하루빨리 조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지역에서 병원격리 중인 사람은 확진환자 A씨가 유일하다.
또 A씨와 접촉하거나 삼성서울병원 방문하는 등 이유로 자가격리된 사람은 총 104명이며, 능동감시는 276명, 정보전달은 140명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