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근로자 10명중 4명 비정규직…”고용불안 심각”

대기업 근로자 10명중 4명 비정규직…”고용불안 심각”

입력 2015-06-30 15:27
수정 2015-06-30 15: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규모 클수록 간접고용 많아…1천인 이상 기업 간접고용 비율 23% 넘어

기업 규모가 클수록 파견·하도급·용역 등 간접고용 근로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안정에 앞장서야 할 대기업이 되레 고용 불안을 부추긴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3천233개 대기업의 고용형태공시 결과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 459만 3천명 중 직접고용 근로자는 367만 6천명(80%), 사업주에 소속되지 않은 간접고용 근로자는 91만 8천명(20%)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간접고용 근로자의 비율은 0.1%포인트 높아졌다.

고용형태공시제는 상시 300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가 매년 3월31일 기준으로 근로자 고용형태를 공시토록 하는 제도다.

직접고용 근로자 중 정규직 근로자는 283만 4천명(77.1%), 계약기간이 정해진 기간제 근로자는 84만 2천명(22.9%)이었다.

전체 근로자 중 간접고용과 기간제 근로자를 합친 비정규직 근로자는 176만명(38.3%)에 달했다. 대기업 근로자 10명 중 4명이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인 셈이다.

더구나, 기업규모가 클수록 간접고용 근로자의 비율이 높았다.

근로자 1천인 미만 기업의 간접고용 비율은 13.4%였지만, 1천인 이상 기업에서는 23%에 달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44.6%), 예술·스포츠(27.1%), 제조(25.0%), 도·소매(22.9%) 분야의 간접고용 비율이 높았다.

직접고용 중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높은 산업은 부동산·임대(64.4%), 건설(52.7%),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49.4%) 등이었다.

건설업은 간접고용과 기간제 근로자 비율 모두 매우 높아 고용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고용 중 단시간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산업은 숙박·음식점(41.8%), 교육서비스(17.7%), 도·소매(12.2%) 등이었다. 전 산업 평균은 5.3%다.

제조업 내에서는 조선, 철강업종의 간접고용 비율이 매우 높았다. 제조업 평균이 25%인데 비해, 조선은 67.8%, 철강금속은 37.9%에 달했다.

민주노총 박성식 대변인은 “파견, 하도급 등 간접고용을 하게 되면 산업재해에 대한 원청업체의 책임 회피가 쉬워진다”며 “최근 조선, 철강업종에서 산재 사망사고가 잇따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근로자 수 2만명 이상 대기업 13곳 중 간접고용 비율이 20%를 넘는 기업은 6곳에 달했다. 현대중공업(62.4%), KT(43%), 롯데쇼핑(28.8%), 홈플러스(23.6%), 이마트(23.3%), 삼성전자(20.7%) 등이었다.

기간제 근로자를 5천명 이상 고용하면서 기간제 비율이 70%를 넘는 기업은 우리관리(98.7%), 이랜드파크 외식사업부(87.1%), 한국맥도날드(78.9%), 유니에스(76.3%), 롯데리아(74.7%) 등 5곳이었다.

매출 상위 10대 기업 중 간접고용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삼성물산으로 64.7%에 달했다.

이어 현대중공업(62.4%), 포스코(47.3%), GS칼텍스(45.6%), 현대모비스(42.1%), 에쓰오일(23.8%), 삼성전자(20.7%), 현대차(14.2%), 기아차(12.5%), LG전자(7.5%) 순이었다.

근로자 1천인 이상 기업 중 지난해에 비해 올해 간접고용비율 상승폭이 큰 기업은 성창E&C로 77.6%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현대산업개발(75.1%포인트), 한진·성동조선해양(69.4%포인트), 에프앤씨시스템(49%포인트), 현대엔지니어링(44.7%포인트), 현대파워텍(43.7%포인트), 여천NCC(35.3%포인트) 순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