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평균키 50년 새 男 10.2㎝·女 4.4㎝ 커졌다

서울시민 평균키 50년 새 男 10.2㎝·女 4.4㎝ 커졌다

입력 2015-08-03 14:28
수정 2015-08-03 14: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요사망 원인 1940년대 폐렴과 유아병…2013년엔 암과 뇌혈관 질환

길거리에서 흡연하는 학생들을 혼내려다 자신보다 훨씬 큰 키와 덩치를 보고 그냥 지나친 경우가 있는 시민이라면 다음 통계를 보면 공감할 것이다.

3일 서울연구원이 발간한 ‘광복 70년, 서울은 어떻게 변했을까? 보건·의료’ 편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1965년 서울 남성(17세 기준)의 평균키는 163.7cm, 몸무게는 54.3kg이었다.

그러나 약 50년 후인 2013년에 평균키는 173.9cm로 10.2cm나 커졌으며, 몸무게는 69.6kg로 15.3kg이 늘었다.

여성 역시 같은 기간 평균키는 156.9cm에서 161.3cm로 4.4cm, 몸무게는 51kg에서 56.7kg으로 5.7kg 증가했다.

주요 사망원인도 60여 년 새 확연한 차이를 드러냈다.

1947년 주요 사망원인으로는 폐렴(12.6%)과 유아병(1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2013년에는 각종 암(31%)과 뇌혈관질환(8.7%), 심장질환(7.9%) 순으로 나타났다.

또 1983년과 대비해 서울시민의 사망원인으로 암, 자살, 당뇨병은 최대 16%포인트까지 증가했다. 반면 뇌혈관질환과 간질환, 운수사고 등은 조금씩 감소했다.

기대수명은 1942년에는 남자가 42.8세, 여자가 47.1세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각각 78.5세, 85세로 크게 늘었다.

한편 서울의 출생아 수는 1947년 인구 1천명당 37.3명에서 2013년 8.4명으로 약 4분의 1로 줄었다.

1947년 영아 사망률은 1천명당 83.4명으로 출생아 12명 중 1명꼴로 1세 이전에 사망했지만, 현재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영아 1천명당 3명만이 일찍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장소는 1947년에는 99.3%가 집이었으나, 2013년에는 98.8%가 병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