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꽃보직 ‘자치구 동장’

서울시 공무원 꽃보직 ‘자치구 동장’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5-10-27 22:46
수정 2015-10-28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눈치 볼 상사 없어 스트레스 덜 해… 본청보다 복지포인트 40만원 많아

1만 7471명의 서울시 공무원이 가장 원하는 ‘꽃 보직’은 다름 아닌 자치구 동장이다. 현재 서울에는 지난 7월 송파구 장지동에서 위례동이 분동돼 25개 자치구에 모두 424개 동이 있다. 5급 사무관이 맡는 동장은 한 동의 수장으로서 동 내에서 자치권을 가지고 있으며 따로 상관이 없어 업무 스트레스가 서울시 어느 보직보다 덜한다.

서울 자치구에서 근무하는 과장은 “동장은 위에 눈치 볼 사람이 없고, 한 달에 한 번 구청장 회의에만 참석하면 된다, 제일 중요한 업무는 주민과의 소통인데 동네 어르신과 자주 막걸리만 마시면 된다”며 동장 임기를 6개월로 마친 것을 아쉬워했다.

서울시 동장의 평균 연령대는 50대 초반으로 주로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고참 사무관들이다. 사무관으로 승진하면 인력개발원에서 교육을 받고 시험을 보는데 이 시험성적에 따라 인사가 결정된다. 성적이 좋을수록 자치구가 아닌 본청에서 근무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서울시 본청은 복지포인트도 평균 180만원 정도로 자치구보다 40만원 적고 층층시하 눈치 볼 사람도 많아 스트레스가 심하다는 게 공무원들의 평이다. 자치구가 수당도 많고 초과근무수당도 훨씬 후하게 쳐주는 까닭에 고시 출신이 아니면 대부분의 시 공무원은 동장으로 일하는 것을 꿈꾼다.

하지만 이런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지난 7월부터 시는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며 80개 동주민센터를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로 바꿨다. 내년 7월에는 282개로 늘어난다. 찾아가는 동주민센터가 되면 동장들은 주민이 신청하는 서류발급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주민을 찾아가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해야 한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유정희 서울시의원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관악구 전역 주민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구 제4선거구)은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관악구 여러 동에서 열린 ‘동별 주민총회’에 연이어 참석하여 주민들과 직접 소통하고, 각 동에서 제안된 마을 의제와 지역 현안을 폭넓게 살폈다. 유 의원은 난곡동, 낙성대동, 남현동, 대학동, 성현동, 서림동, 서원동, 삼성동, 인헌동, 청림동(가나다순) 등 관악구 전역에서 개최된 주민총회에 참여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들이 마을 문제를 스스로 제안하고 논의하며 해결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로, 지역의 실질적인 의사결정 구조가 작동하는 대표적인 참여형 자치 방식이다. 유 의원은 주민총회를 통해 “주민이 직접 의제를 만들고, 그 의제를 토론과 숙의를 거쳐 결정하는 과정이 곧 자치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행정이 주민에게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주민이 직접 마을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점점 더 자리 잡고 있다”며 주민총회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민총회 현장에서는 동마다 다양한 마을 의제가 제안되고, 주민 사이의 토론과 의견 수렴이 이어졌다. 일부 동에서는 주민들이 준비한 공연이 더해져 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함께 나누는 시간이 마련되기도 했다. 유 의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관악구 전역 주민총회 참석

2015-10-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