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발생시 머리 보호가 최우선…담벼락은 위험”

“지진 발생시 머리 보호가 최우선…담벼락은 위험”

입력 2015-12-22 12:53
수정 2015-12-22 12: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전처 국민행동요령 숙지 필요…화재 막는 것도 중요

올해 들어 우리나라에서 규모(3.9)가 가장 큰 지진이 22일 새벽 전북 익산 인근에서 발생해 온 국민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통상 지진 규모 3.0 이상이면 실내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진앙이 우리나라 내륙에 해당하는 지진으로선 흔치 않은 규모다.

이 때문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불안감을 호소하는 글이 종일 이어졌다.

대전시 소방본부 노용선 홍보주임(소방위)은 “갑작스럽게 지진으로 인한 진동을 직접 체감하게 된다면 누구나 당황할 것”이라며 “평소 대피 요령을 숙지하거나 몸으로 익혀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안전처의 지진 발생시 상황별 국민행동 요령에 따르면 집 안에 있을 때는 서둘러 밖으로 나가지 말고, 튼튼한 탁자 밑에 들어가 탁자 다리를 꽉 붙잡고 몸을 피해야 한다.

특히 화재를 막는 게 중요하다. 크게 흔들리기 전과 흔들림이 멈췄을 때 “불을 꺼라!”라고 외치며 가스레인지나 난로의 불을 꺼야 한다.

이미 발화가 됐다면 진동이 지나가고서 소화기로 즉시 불을 꺼야 한다.

집 밖에 있는 경우라면 좀 더 조심해야 한다. 마땅한 몸을 피할 만한 장소를 찾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는 가방이나 짐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위험물에서 벗어나는 게 급선무다. 도심이라면 간판이나 유리창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노용선 주임은 “땅이 흔들릴 정도라면 어딘가에 몸을 기대게 되는 게 사람 심리인데, 그렇게 되면 외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문기둥이나 담벼락이 무너지면 크게 다치거나 자칫 목숨을 잃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안에 있다면 즉시 비상 버튼을 눌러 밖으로 빠져나와야 하고, 지하철에서는 정전 시 비상등을 따라 침착하게 이동해야 한다.

운전 중에는 차량을 도로 오른쪽에 세우고 라디오 정보를 따라 움직여야 한다.

이 같은 내용의 국민행동 요령은 국가재난정보센터(http://www.safekore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