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 등은 22일 오전 춘천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제조·판매사를 살인죄로 처벌해 달라”라고 촉구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족 모임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날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530명 중 도내 피해자는 모두 8명으로 3명이 숨지고 5명이 투병 중”이라며 “잠재적 피해자는 1만5천명으로 추산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피해자 판정은 1∼4등급으로 구분되는데 도내 피해자 8명 중 1·2·3등급은 각 1명씩이고, 4등급은 5명에 이른다“며 ”1∼2등급만 병원비와 장례비 지원을 하고 3∼4등급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억울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춘천지검 민원실에 찾아가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살인죄 처벌 수사 촉구 진정서를 냈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족 모임 단체 등은 지난달 16일 부산을 시작으로 울산, 대구, 대전, 수원, 인천, 서울 등 전국 지방검찰청을 순회하면 진정서를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족 모임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날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530명 중 도내 피해자는 모두 8명으로 3명이 숨지고 5명이 투병 중”이라며 “잠재적 피해자는 1만5천명으로 추산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피해자 판정은 1∼4등급으로 구분되는데 도내 피해자 8명 중 1·2·3등급은 각 1명씩이고, 4등급은 5명에 이른다“며 ”1∼2등급만 병원비와 장례비 지원을 하고 3∼4등급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억울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춘천지검 민원실에 찾아가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살인죄 처벌 수사 촉구 진정서를 냈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족 모임 단체 등은 지난달 16일 부산을 시작으로 울산, 대구, 대전, 수원, 인천, 서울 등 전국 지방검찰청을 순회하면 진정서를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