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선택제 일자리, 기업·근로자 만족도 높아

시간선택제 일자리, 기업·근로자 만족도 높아

입력 2016-01-21 16:43
수정 2016-01-21 16: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용정보원 설문조사…기업 78% “전환형 시간선택제 유지·확대 계획”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기업과 근로자 모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 사업의 실태 및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인사담당자 300명, 시간선택제 근로자 400명, 전일제 근로자 2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말 벌인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근로자의 필요에 따라 전일제 근로자보다 짧게 일하면서 기본적인 근로조건을 보장받는 일자리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는 육아, 건강, 학업 등 이유로 근로자가 일정기간 전일제에서 시간선택제로 전환해 근무하는 제도를 말한다.

조사 결과 시간선택제 신규 근로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점, 전일제에서 시간선택제로 전환한 근로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4.4점이었다.

전환형 근로자들 중에는 ‘여성·30대·기혼·미취학 자녀를 둔 근로자’의 비중이 높아 이른바 ‘워킹맘’의 시간선택제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담당자의 만족도는 4.2점으로, 전환형 시간선택제에 대해 숙련인력의 이직 감소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지원에 큰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사업장 내 시간선택제 근로를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많았다.

시간선택제 신규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응답은 67.3%, 시간선택제 전환 제도를 유지·확대할 계획이라는 응답은 78.4%에 달했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에서 일하는 전일제 근로자들의 90%는 현재 직장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79.5%는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안준기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근로시간뿐 아니라 근로일과 장소 등을 자유롭게 선택해 일할 수 있는 다양한 근무제를 도입해 유연한 근로문화 정착을 위한 제도적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부는 이날 국무조정실, 인사혁신처 등과 함께 시간선택제 도입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시간선택제 공무원 확대를 위한 지침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는 ‘중앙부처 시간선택제 설명회’를 세종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