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돈 별로 없으니…총선후보들 ‘문자메시지 전쟁’ 집중

남은 돈 별로 없으니…총선후보들 ‘문자메시지 전쟁’ 집중

입력 2016-04-08 09:26
수정 2016-04-08 09: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급 운동원 포기하고, 전화 홍보도 중단

“후보마다 문자메시지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항의 전화도 오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지요…”

대구의 한 선거구에 출마한 새누리당 A 후보는 선거운동비용 제한액(법정선거비용) 1억5천만원 가운데 앞으로 남은 닷새 동안 쓸 수 있는 돈이 10%도 채 남지 않아 고민이다.

공천 과정에서 컷오프를 통과하기 위해 중앙당 전화 여론조사에 대비해 유권자들에게 문자메지시를 대량으로 발송한 영향이 컸다.

A 후보는 4개월의 예비후보 기간 문자발송에 사용한 비용만 총 비용의 40%(6천여만원)에 달했다.

선거비용 제한액의 5%만 넘겨도 당선 무효가 되기 때문에 남은 기간 허리띠를 바짝 졸라맬 수밖에 없게 됐다.

이런 탓에 B 후보는 30명까지 둘 수 있는 유급 선거운동원을 단 한 명도 등록하지 못했다.

대신 무급으로 쓸 수 있는 같은 정당 소속 보좌관, 비서관, 지방의원에게 선거운동을 부탁했다.

이들을 포함해 무급 자원봉사자 10여 명이 A 후보를 돕고 있다.

상대 후보들은 30여 명의 선거운동원을 두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뛰고 있는 걸 보자니 잠도 제대로 이룰 수 없을 지경이다.

A 후보는 결국 발품팔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른 아침부터 전철역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찾아다니며 유권자에게 직접 호소하는 방법으로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같은 지역의 또 다른 후보 측 회계 책임자는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더니 예비후보 기간에 보낸 문자메시지 비용이 선거운동 기간 전체 가용 재원의 절반에 가깝다”고 하소연했다.

경기북부 한 선거구에 새누리당 공천을 받아 출마한 B 후보도 선거 중반임에도 이미 선거비용 제한액 1억6천600만원의 90%인 1억5천만원을 썼다.

세 번째 총선을 치르는 B 후보의 회계책임자는 “예전과 달라진 것이라면 문자메시지 발송 비용이 크게 늘었고 눈에 띄게 하려다 보니 소품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간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B 후보는 문자메시지 발송에 2천만원을 들이고 소품 제작에 회당 500여만원씩 사용했다.

남은 닷새 동안 선거운동원 30여 명의 인건비로 하루 260여만원씩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라 사실상 선거운동에 쓸 돈이 바닥난 셈이다.

급기야 대부분 후보가 적극 활용하는 문자메시지 발송을 중단했다.

B 후보는 선거비용이 바닥 나면서 당원협의회 관계자 등 자원봉사자 30여 명의 도움을 받아 막판으로 치닫는 선거운동에 힘을 쏟고 있다.

선거비용이 바닥인 후보는 이들 후보뿐만이 아니다.

4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해 치열하게 경선을 치른 경기지역 더불어민주당 C 후보 역시 1억6천500만원인 법정선거비용을 이미 거의 다 썼다.

그는 예비후보 때부터 한 문자메시지 발송 비용이 수천만원이다.

공식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됐지만 돈이 부족해 전화 홍보를 포기했다.

대신 간편하고 비용 대비 더 효과적인 문자메시지 발송에 올인하고 있다.

C 후보 측 회계책임자는 “처음 출마를 했는데, 예상했던 것보다 문자메지지 발송 비용이 많이 든다”고 말했다.

충북의 D 후보도 경선 과정에서 문자메시지 발송에만 3천여만원을 써 일찌감치 허리띠를 졸라맸다.

각 당 후보들이 중반을 넘어서는 시점에 일찌감치 돈 부족에 시달리는 이유는 선거구 획정 지연에 치열하고 긴 당내 경선 기간을 거치며 공천까지 늦어졌기 때문이다.

통상 투표일 1∼2개월 전에 공천이 이뤄진 예전 선거와 달리 이번 총선은 불과 20여 일 전에야 각 당 후보가 결정돼 상대적으로 얼굴을 알릴 기회가 적었다.

당연히 공천을 받기 전까지 지출한 비용이 많았다.

예선에 힘빼고 정작 본선에서 쓸 수 있는 돈이 줄어든 것이다.

돈 부족에 시달리는 후보들은 대부분 선거운동이 막바지로 치달으며 ‘문자메시지 발송’에 남은 돈을 쏟아붓고 있다.

문자메시지 비용은 1건당 30원인 전화보다 2∼3원 비싸다. 그러나 다수에게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B 후보 회계책임자는 “서울에서는 하루에 15만건씩 문자메시지를 보내 이 비용으로만 450만원씩 지출하는 후보도 있다”고 귀띔했다.

전화는 1명이 기껏해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종일 걸어봐야 200여 통에 불과하다.

더구나 유권자가 전화를 받아도 대꾸가 없거나 항의하기 일쑤다. 시간을 늘릴 수 있지만 비용도 더 든다.

현행법상 전화 홍보는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할 수 있다.

짧은 시간에 자신을 알리려면 문자메시지가 훨씬 효과적이라고 이들 후보들은 판단하고 있다.

B 후보 측 관계자는 “예전 총선 때 며칠에 한 번씩 보내던 문자메시지를 이번에는 매일 보내고 있다”며 “유권자가 싫어하고, 하루에 2∼3통씩 항의 전화도 오지만 상대 후보의 악의적 공세에 대응하려면 이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