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오가던 밤길이 무섭습니다

매일 오가던 밤길이 무섭습니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6-05-25 22:56
수정 2016-05-26 0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여성안심 귀가 스카우트’ 심야 동행기

강남역 살인 사건에 공포 커져
“누군가 같이 걸어줘 안심돼”
“간단한 대책 실행 못 해 답답”


이미지 확대
서울시 여성 안심귀가 스카우트 대원인 최한기(왼쪽)씨와 송명자씨가 지난 24일 관악구 낙성대동에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신청한 여성이 집에 안전하게 들어가는 것을 확인한 뒤 웃으며 발길을 돌리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서울시 여성 안심귀가 스카우트 대원인 최한기(왼쪽)씨와 송명자씨가 지난 24일 관악구 낙성대동에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신청한 여성이 집에 안전하게 들어가는 것을 확인한 뒤 웃으며 발길을 돌리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강남역 화장실 살인 사건 이후로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가기가 무서워 멀어도 큰길로 돌아서 다녀요. 무엇보다 가로등도 늘리고 조명이 좀 밝아졌으면 좋겠네요.”-회사원 김효빈(27·여)씨

“야근을 하고 밤늦게 집에 들어가게 되면 항상 부모님과 통화를 하면서 가죠. 최근 강남역 사건 이후에는 부모님이 제 퇴근 시간에 맞춰 매일 전화를 하시네요.”-회사원 장모(29·여)씨

지난 24일 오후 10시부터 이튿날 오전 1시까지 서울 관악구 낙성대동에서 ‘서울시 여성안심 귀가 스카우트’를 이용한 여성 15명에게 들어 본 여성안전대책은 가로등 조도 높이기, 순찰 늘리기, 모형 경찰 사이렌 설치 등 단순했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한 여성은 “그 간단한 대책을 수십년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진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번에도 정부가 여성 안전을 확보하자고 각종 정책만 나열하고 예산 문제 등으로 흐지부지될 것이라며 답답해하는 이들도 있었다.

서울시가 2013년 처음 도입한 여성 안심귀가 서비스는 2인 1조로 오후 10시부터 이튿날 오전 1시까지 여성과 집까지 동행해 주는 제도다. 120다산콜센터나 각 구청을 통해 미리 신청하면 버스나 지하철역에서 자택까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날 동행한 안심귀가 스카우트 대원 최한기(58)·송명자(62·여)씨는 낙성대역길을 중심으로 낙성대역 2길, 4길, 6길, 8길 등 골목길에 위치한 원룸과 오피스텔을 오가며 약 20㎞를 여성들과 걸었다.

오후 10시가 넘어서자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에서 20~30대 여성이 쏟아져 나와 원룸 건물이 빼곡히 서 있는 낙성대역길로 들어섰다. 최씨는 “안심귀가 서비스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 통상 현장에서 직접 동행을 원하는지 묻는다”며 “원룸촌에는 혼자 사는 여성이 많아서 지하철역에서 먼 거리도 혼자 다니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잔뜩 움츠린 채 혼자 바삐 걷던 한 여성이 “집에 도착하실 때까지 함께 걸어가 주겠다”는 송씨의 제안을 반겼다. 직장인 송아현(20·여)씨는 “밤늦게 골목길을 걸을 때는 주변을 경계하기 위해 이어폰을 끼지 않고 휴대전화도 보지 않는다”며 “어두운 골목길에서 인기척조차 알아채지 못하면 나쁜 일을 당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가방 안에서 버튼을 누르면 사이렌 소리가 울리는 호신용품을 꺼내 보여 줬다. 송씨는 “화장실이든 길거리든 잠깐만 방심하면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강남역 사건을 보면서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직장인 설모(31·여)씨는 여성 안심귀가 서비스를 이날 두 번째 이용했다. 잦은 야근 때문에 평소 귀가 시간이 오후 10시쯤인 설씨는 “동네 입구에 있는 스카우트 대원을 자주 봤는데 그간은 낯설어서 동행 제안을 거절해 왔다”며 “하지만 강남역 사건 이후 처음 이용했고 누군가 같이 걸어 준다는 것만으로 안심이 돼 다시 이용하게 됐다”고 전했다.

현장에서 본 여성 대부분이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방법은 지인과의 통화였다. 대학생 배모(19·여)씨는 “강남역 사건을 보니 범행 타깃이 된다면 별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다”며 “부모님과 통화하면서 집에 가면 적어도 응급 상황이 생겼다는 것은 알릴 수 있고 혹여나 문제가 생겨도 방치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장인 장모(23·여)씨는 아예 112를 입력한 휴대전화를 손에 쥔 채 골목길을 걸었다. 그는 “혹시라도 무슨 일이 생겼을 때 바로 통화 버튼을 누를 수 있으니 그나마 낫지 않을까 싶다”며 “혼자 사는 친구들끼리 호신용 스프레이나 전기충격기를 공동 구매하기도 하고 안심귀가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 공유도 늘고 있다”고 전했다.

여성들이 바라는 정부 대책은 늘 거론되는 것들이었다. 밤 12시가 넘어 이 서비스를 이용한 직장인 김효빈(27·여)씨는 “어두운 골목길이 너무 많아서 폐쇄회로(CC)TV나 모형 경찰 사이렌, 비상벨 등 위급 상황 시 대처할 수 있는 시설들이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05-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