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 52만원’...장애인이 호구냐?

‘염색 52만원’...장애인이 호구냐?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6-05-31 10:30
수정 2016-05-31 1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찰, 충주 ‘바가지 미용실’ 수사 착수

이미지 확대
자료사진.
자료사진.
장애인·새터민에게 바가지 씌운 미용실

충북 충주의 한 미용실이 장애인에게 터무니 없는 ‘바가지 요금’을 받아왔다는 주장이 제기되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1일 충주경찰서와 충주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따르면 뇌병변 장애를 앓는 이모(35·여) 씨는 지난 26일 집 부근인 충주 연수동 모 아파트 상가 미용실에서 머리 염색을 했다. 이 미용실은 몇 번 방문한 적이 있는 이 씨는 10만원 정도 선에서 염색을 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런데 미용실 원장은 “오늘 비싼 약품이 많이 들어갔다”는 말을 되풀이 했다.

이씨가 “가격이 얼마냐”라고 물어도 대답하지 않던 원장은 이씨가 염색 비용을 결제하려하자 “52만원”이라고 말한 뒤 잽싸게 이씨로부터 신용카드를 낚아채 결제를 해버렸다. 이씨는 “52만 원은 한 달 생활비다. 머리 값으로 다 나가면 어떻게 살라는 말이냐”며 30여분간 결제 취소를 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원장은 거절했다.

이후 이씨는 경찰과 장애인 단체에 억울함을 하소연했다. 이씨의 염색 상태도 두피까지 염색되는 등 매우 불량했다.

이씨는 경찰과 함께 미용실로 가서 카드 결제를 취소한 뒤 20만원을 결제했다. 하지만 원장은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비싼 약품을 써서 커트, 염색, 코팅 등 여러 가지 시술을 했다”며 “손해를 보고 조금만 받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미용실이 그동안 장애인에게 상습적으로 바가지를 씌워 온 사례가 2~3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해당 미용실이 있는 아파트는 저소득층과 장애인, 새터민 가족이 많이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지적 장애인 여성은 “커피 마시러 놀러오라는 원장 얘기를 듣고 들렀다 커트비로 10만 원을 냈다“고 털어 놓았다. 다른 지적 장애인도 머리 손질과 염색만 하는 데 40만 원을 지불한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관계자는 “문제의 미용실은 서비스 가격표도 붙여놓지 않고 장애인을 상대로 요금을 터무니없이 비싸게 받아왔을 뿐 아니라 장애인 비하 발언까지 서슴지 않았다”며 철저한 수사를 요청했다. 경찰 관계자는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이 피해를 봤다는 지적이 제기된 만큼 철저하게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