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억 알바 임금체불’ 이랜드파크, 서울시가 소송 대행한다

‘84억 알바 임금체불’ 이랜드파크, 서울시가 소송 대행한다

입력 2016-12-23 10:28
수정 2016-12-23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년 1∼3월 아르바이트 임금체불 피해 집중 신고기간

최근 수십억원 규모의 임금 체불이 드러난 이랜드파크에 대해 서울시가 나서 체불임금 지급 소송을 대행한다.

서울시는 이랜드 파크에서 근무한 아르바이트 노동자가 체불임금을 받는 과정에서 법적 도움이 필요하다면 진정·청구·행정소송을 대행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최근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결과 이랜드파크 소속 매장 360곳에서 4만4천360명, 83억 7천200여만원에 달하는 임금체불이 밝혀졌다.

시는 “체불임금 지급 절차를 적극적으로 알리도록 이랜드파크에 공식 요청할 계획”이라며 “서울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서도 체불임금 지급 절차를 널리 알리겠다”고 전했다.

시는 다양한 채널로 피해사례를 접수해 임금체불 외 다른 노동권익이 침해됐을 경우 적극적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나아가 이랜드파크 외에도 임금체불로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을 것으로 보고 내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90일간 ‘아르바이트 임금체불 피해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한다.

시는 “아르바이트 노동자는 임금체불을 당하고도 금액이 적거나 시간·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다”며 “아르바이트 밀집지역을 찾아 피해사례를 직접 접수하고, 피해 구제 절차를 대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74명으로 이뤄진 ‘아르바이트 청년 권리지킴이’를 아르바이트 밀집지역으로 파견, 부당 노동행위와 권리침해를 겪은 이들에게 기초적인 노동상담을 제공한다.

이후 전문적인 조정·화해·서면 접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서울시가 운영하는 ‘노동권리보호관’과 연결해 진정·청구·행정소송 등 법적 구제절차를 무료로 대행할 방침이다.

노동권리보호관은 임금체불·부당해고·산업재해 등 노동권익을 침해당한 월 소득 250만원 이하 시민을 도와주는 노동전문가다.

시는 앞으로 영세 사업장과 근로환경이 열악한 음식점·편의점·배달업체 등을 중심으로 현장 방문 모니터링도 할 예정이다. 청년 아르바이트 노동자가 많은 홍익대·건국대 등 대학가와 강남역 등 역세권 등지에서 권리 홍보 캠페인도 펼친다.

임금체불 등 근로 권익을 침해당한 아르바이트 청년 노동자는 120다산콜센터, 서울노동권익센터(02-376-0001), 카카오톡 아이디 ‘서울알바지킴이’, 가까운 자치구 노동복지센터에 연락하면 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