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려고 명절에 모였나’…설·추석에 가정폭력 신고↑

‘이러려고 명절에 모였나’…설·추석에 가정폭력 신고↑

입력 2017-01-22 10:24
수정 2017-01-22 1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찰 “신고 활성화 정책과 집중신고 시간 운영 탓”

#1. 별거 중이던 남편 A(41)씨는 아내(40)와 지난해 추석 연휴를 맞아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 영화를 봤다.

극장에 들어갈 때만 해도 분위기가 좋았지만 나올 때는 달랐다. 사소한 말다툼으로 시비가 붙은 두 사람은 결국 길에서 서로 멱살을 잡고 싸우게 됐다.

#2. 재혼한 B씨(35)는 지난해 9월 14일 추석을 맞아 전 남편 사이에서 낳은 자녀와 통화를 했다.

인사차 전화를 한 것이었는데 이를 알게 된 남편(46)은 화가나 B씨의 뺨을 때리고 욕설을 퍼부었다.

설과 추석 등 명절 연휴에 112에 접수되는 가정폭력 신고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무소속 이찬열 의원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명절 연휴 가정폭력 112 신고현황’을 보면 2014년 7천737건이던 접수 건수는 2015년 8천491건, 2016년 1만622건으로 늘어났다.

2014년 설 연휴(4일간)에 3천138건, 2014년 추석 연휴(5일간)에 4천599건, 2015년 설 연휴(5일간)에 4천508건, 2015년 추석 연휴(4일간)에 3천983건의 가정폭력 신고가 접수됐다.

지난해에는 설 연휴(5일간)에 4천457건이었던 신고 건수가 추석 연휴(9월 14∼18일)에는 6천165건으로 급증했다.

이처럼 매년 명절에 가정폭력이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신고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집중신고 시간을 운영하는 한편 합동점검을 강화한 탓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가정폭력은 밤 시간대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시간대별 신고현황을 보면 오후 10시∼자정 사이에 접수되는 비율이 16.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자정∼오전 2시(15.1%), 오후 8시∼10시(12.5%) 등의 순이었다.

저녁을 먹으며 술을 마신 상태에서 가족 간 언쟁이 물리적인 다툼으로 번지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의원은 “경제적 이유와 갈등으로 인한 가정폭력이 급증하고 있고, 특히 나와 가장 가까운 이들로부터 상처를 받기 쉽다”며 “무조건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것은 또 하나의 폭력인 만큼 명절에 서로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