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샐비지, 해수부에 요청
세월호 인양에 성공한 중국 상하이샐비지가 지연 비용 등을 추가로 지급해 달라고 요청해 우리 정부와 협상 중이다.
목포 연합뉴스
세월호 3년 묵은 오염 세척
크레인에 탄 세월호 현장수습본부 작업자들이 13일 전남 목포시 목포신항만에 거치된 세월호를 고압세척기로 씻어내고 있다.
목포 연합뉴스
목포 연합뉴스
1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15년 8월 상하이샐비지와 계약할 당시 초기 계약액은 851억원이었다. 잔존유 제거·유실방지 등 1단계 작업을 완료하면 213억원(25%), 인양·지정장소 접안 등 2단계를 마치면 468억원(55%), 육상거치·보고서 제출 등 3단계까지 무사히 끝내면 나머지 170억원(20%)을 차례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각 단계가 끝나는 대로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어서 지연 비용은 원칙적으로 상하이샐비지 측의 부담이다. 다만, ‘불가항력의 경우’ 등에는 비용을 더 주기로 했다.
하지만 수중작업이 예상보다 훨씬 복잡했고 세월호 화물칸 C·D데크의 기름 제거, 특히 세월호 선미 부분 해저 면을 굴착해 리프팅빔을 설치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결국 작업 착수 613일 만인 지난 11일 선체 인양이 완료됐고, 보고서 작성 등 최종 계약 종료 시점은 올해 6∼7월로 예상된다.
현재 상하이샐비지는 모든 과정에서 예상보다 늘어난 비용을 최대한 받아내길 원하고 있다. 상하이샐비지가 요구하는 금액은 1000억원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바닥에 리프팅빔을 설치하면서 선미 부분의 해저면 굴착으로 늘어난 비용으로 300억원 정도만 더 지급하겠다는 입장이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4-1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