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보존용 제주재래닭 572마리 AI 예방 차원 살처분

종 보존용 제주재래닭 572마리 AI 예방 차원 살처분

입력 2017-06-07 16:49
수정 2017-06-07 16: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주도 축산진흥원이 종 보존용으로 사육하던 제주재래닭 572마리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막기 위해 7일 모두 살처분됐다.

축산진흥원은 제주재래닭을 사육·보존하는 축사시설 3개 동이 고병원성 AI 발생농가 반경 3㎞ 이내에 포함돼 예방적 차원에서 이같이 조치했다고 밝혔다.

살처분은 자체 인력 20명이 비닐에 닭을 담은 후 이산화탄소 가스를 살포하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이후 자체 폐가축 시설에서 처리됐다.

축산진흥원은 AI가 종식되면 순수혈통 복원을 위해 도내 사육농가 7개소에서 제주재래닭을 분양받아 종 보존·증식해 나갈 계획이다.

축산진흥원은 1986년 제주재래닭 26마리를 구입, 고유품종으로 사육 보존해 왔다.

제주재래닭은 대략 2천 년 전 동남아시아 또는 중국에서 한반도는 물론 제주도까지 유입됐다.

고립된 섬이라는 환경에 적응하며 순수혈통을 이어온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축산진흥원은 판단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