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비리’ 파문 진경준-최유정, 오늘 나란히 항소심 선고

‘법조비리’ 파문 진경준-최유정, 오늘 나란히 항소심 선고

입력 2017-07-21 09:21
수정 2017-07-21 09: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진경준 1심서 무죄 나온 ‘넥슨 공짜주식’ 뇌물로 인정될지 주목

지난해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켰던 법조 비리 사건들의 항소심 결과가 21일 나란히 선고돼 주목된다. 서울고법은 이날 진경준(50) 전 검사장과 부장판사 출신 최유정(47·여) 변호사의 2심 판결을 선고한다.

서울고법 형사4부(김문석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0시 ‘공짜 주식’을 주고받은 혐의 등으로 기소된 진 전 검사장과 김정주(49) NXC 대표의 선고 공판을 연다.

진 전 검사장은 1심에서 징역 4년의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주된 의혹인 주식 무상 취득 부분은 무죄를 받았다.

그는 친구인 김 대표로부터 빌린 돈으로 넥슨 주식을 취득한 뒤 이 주식을 넘기는 대가로 넥슨재팬이 2006년 11월 유상증자로 발행한 당시 시가 8억 5천여만원 어치의 주식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김 대표는 빌린 돈과 똑같은 금액을 진 전 검사장 어머니와 장모의 계좌로 보내 변제하는 데 쓰게 했다.

검찰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를 적용했으나 1심은 뇌물죄가 성립하기 위한 핵심 조건인 ‘직무 관련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이 부분을 무죄로 판단했다. 김 대표의 사업이 검사 직무와 연관돼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김 대표는 무죄를 선고받았고, 진 전 검사장은 다른 비리 혐의만 유죄가 인정돼 징역 4년형을 받았다.

이 판결은 법 조항을 피고인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확대해서 해석할 수 없다는 ‘죄형 법정주의’에 입각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광범위한 검사의 직무 범위를 제한적으로 판단해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비판을 함께 받았다.

검찰은 항소심에서 “1심이 뇌물죄를 좁게 해석해 일반인의 법 감정에 맞지 않는다”며 진 전 검사장에게 징역 13년, 김 대표에게 징역 2년6개월을 구형했다.

서울고법 형사1부(김인겸 부장판사)는 같은 날 오전 9시 50분 변호사법 위반 등 혐의로 1심에서 징역 6년형을 받은 최 변호사의 선고 공판을 연다.

최 변호사는 재판부에 로비해주는 등 명목으로 유사수신업체인 이숨투자자문 대표 송창수씨로부터 50억 원, 정운호 전 네이처리퍼블릭 대표로부터 50억 원의 부당 수임료를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정운호 게이트’로 불리는 이 사건은 정씨와 최 변호사가 지난해 4월 구치소 접견 도중 수임료 반환을 둘러싸고 다툰 사실이 알려지면서 처음 불거졌다.

1심은 최 변호사의 혐의를 모두 유죄로 보고 징역 6년 및 추징금 45억 원을 선고했고, 검찰은 항소심에서 징역 7년의 중형을 구형한 상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