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에 차라리 출근하고 싶은 직장인‘왜?’

연휴에 차라리 출근하고 싶은 직장인‘왜?’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7-10-03 09:10
수정 2017-10-03 09: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금연휴에도 출근한 직장인.
황금연휴에도 출근한 직장인.
“추석 다음날에 당직 근무한다고 지원했어요. 일 핑계로 굳이 고향에 내려 가지 않아도 되잖아요.” - 직장인 허모(31)씨

허씨는 올해 취직 4년 만에 처음으로 고향인 대구로 내려가지 않는다. 매년 명절이면 어렵사리 KTX 기차표를 예매해 대구로 향했지만, 올해는 명절마다 쏟아지는 잔소리와 결혼 여부를 묻는 친인척들의 질문 세례를 피하고 싶었다.

허씨는 왕복 9만원 정도의 KTX 기차표 값과 명절 기간 이래저래 지출되는 돈을 줄여 서울에서 휴식을 취할 예정이다

허씨처럼 이번 추석 연휴에도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직장인은 생각보다 많다. 취업포털 인쿠르트가 직장인 520명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추석 연휴에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는 직장인이 48.7%(249명)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92.7%(229명)는 ‘실제로 올 추석에 일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기꺼이 출근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연휴 출근을 희망하는 직장인들은 특히 30대와 40대가 많았다. 40대 응답자의 경우 54.9%, 30대는 49.7%가 연휴 근무를 희망했다. 명절 근무를 자처하는 이유로는 흔히 생각하는 ‘가족, 친인척 모임에서 빚는 갈등’(22.4%), ‘집안일 스트레스’(17.5%)보다 ‘선물, 용돈 등 경제적 부담’이 27.5%로 가장 높았다.

또 ‘연휴 후유증에 대한 부담’(17.0%), ‘다이어트에 대한 부담’(5.4%), ‘운전 스트레스’(4.4%) 등의 답변도 나왔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