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 별세로 생존자 34명… 수요집회는 계속된다 1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30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전날 유네스코는 한국과 중국·일본·타이완 등 9개국이 공동으로 등재를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대해 ‘대화를 위한 등재 보류 권고’를 결정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날 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전했다. 공식적으로 위안부 피해 접수를 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생존자는 34명으로 줄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위안부 피해 할머니 별세로 생존자 34명… 수요집회는 계속된다
1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30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전날 유네스코는 한국과 중국·일본·타이완 등 9개국이 공동으로 등재를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대해 ‘대화를 위한 등재 보류 권고’를 결정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날 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전했다. 공식적으로 위안부 피해 접수를 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생존자는 34명으로 줄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30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전날 유네스코는 한국과 중국·일본·타이완 등 9개국이 공동으로 등재를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대해 ‘대화를 위한 등재 보류 권고’를 결정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날 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전했다. 공식적으로 위안부 피해 접수를 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생존자는 34명으로 줄었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