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 국립묘지 묻히기 싫다며 생전에 써 놓은 자신의 묘비명

김종필, 국립묘지 묻히기 싫다며 생전에 써 놓은 자신의 묘비명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8-06-24 17:27
수정 2018-06-24 17: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유 나서는 김종필.처 박영옥 아들 김진 1968.10.21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외유 나서는 김종필.처 박영옥 아들 김진 1968.10.21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23일 92세 일기로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생전에 자신의 묘비에 새길 글을 미리 써 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광덕 전 한국일보 정치부장은 이날 YTN과의 인터뷰에서 김종필 전 총리의 생전 묘비명(墓碑銘)과 관련된 일화를 전했다. 김광덕 전 부장은 민주자유당(민자당), 자유민주연합(자민련) 시절 김종필 전 총리를 취재했다.

김광덕 전 부장은 “(김종필 전 총리의) 부인 박영옥 여사가 2015년에 돌아가셨다. 그때 돌아가신 이후에 (김 전 총리는 자신의) 묘비명을 미리 썼다”며 “원래 전 국무총리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국립묘지에 안장되는데 본인은 국립묘지에 가지 않고 마누라와 같은 자리에 누워야겠다. 이런 표현을 썼다”고 말했다.

앞서 동아일보는 2015년 3월 “JP가 미리 써놓은 자기 묘비명”이라는 제목으로 김종필 전 총리의 묘비명 내용을 보도했다. JP는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이름 영어 이니셜로 애칭이기도 하다. 그의 묘비명 대부분은 한자어와 고사성어로 구성돼 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생전에 써 놓은 자신의 묘비명.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생전에 써 놓은 자신의 묘비명.
이를 한글로 풀면 다음과 같다

“한 점 허물없는 생각을 평생 삶의 지표로 삼았으며, 나라 다스림 그 마음의 뿌리를 ‘무항산이며 무항심’에 박고 몸 바쳤거늘, 나이 90에 이르러 되돌아보니 제대로 이룬 것 없음에 절로 한숨 짓는데, 숱은 질문에 그저 웃음으로 대답하던 사람, 한 평생 반려자인 고마운 아내와 이곳에 누웠노라”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