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는 평년기온 회복, 제주 제외하고 전국이 해넘이 해돋이 볼 수 있어

선도리 갯벌에서 마주한 비인만의 해넘이. 이 장면 하나 보는 것만으로도 비인행(行)에 나설 이유는 충분하다.
기상청은 “올해 마지막 날과 새해 첫 날은 중국 북부지방에 위치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겠지만 제주도는 구름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새해 첫 날에는 눈이 날리거나 빗방울이 떨어질 것”이라고 30일 예보했다.
31일 전국의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7도~영하 1도, 낮 최고기온은 0~9도 분포를 보이겠다. 새해 첫 날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3도~영하 1도, 낮 최고기온은 영하 1도~영상 6도로 전망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31일 아침 기온도 중부 내륙과 남부 일부 내륙지역은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많겠고 중부 일부지역의 아침 기온은 영하 15도까지 떨어져 여전히 ‘냉장고 추위’를 보이겠다. 다만 낮부터 기온이 차차 올라 평년(영상 2~7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지난주부터 이어진 이번 추위는 5㎞ 상공의 대륙고기압이 한반도 방향으로 차가운 공기를 계속 불어넣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31일 오후부터 차가운 상층 대륙고기압이 점차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낮 기온이 영상권을 회복하고 추위가 점차 누그러질 것을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추위가 풀린다고 해도 아침, 저녁으로 최저기온이 영하 5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많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건강관리와 수도관 동파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31일 2018년 마지막 해넘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볼 수 있겠지만 제주도는 대기와 해수면 온도차가 커 해상에서 만들어진 구름이 유입되면서 해넘이를 보기 어렵겠다.
1월 1일 새해 해돋이 역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구름 사이로 해가 뜨는 모습을 볼 수 있겠지만 제주도는 여전히 구름이 많은 흐린 날씨 때문에 해돋이도 볼 수 없을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