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희생자 304명 영정, 광화문광장서 떠난다

세월호 희생자 304명 영정, 광화문광장서 떠난다

입력 2019-03-17 11:55
수정 2019-03-17 1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광화문광장 세월호 참사 희생자 및 미수습자 분향소 앞에서 열린 이안식에서 유가족이 슬픔에 잠겨있다. 2019.3.17 뉴스1
17일 서울 광화문광장 세월호 참사 희생자 및 미수습자 분향소 앞에서 열린 이안식에서 유가족이 슬픔에 잠겨있다. 2019.3.17 뉴스1
세월호 천막 철거를 하루 앞두고 세월호 희생자 304명의 이안식이 열렸다.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는 오늘(17일)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희생자 304명의 영정을 옮기는 이안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희생자 가족과 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해 추모했다.

먼저 불교, 기독교, 천주교 순으로 종교의식이 진행됐고,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과 장훈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의 추모 낭독이 이어졌다. 박 소장은 “304명의 영정을 빼고 분향소를 닫는 것이 끝이 아니다. 진실을 마주할 때까지 행진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훈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도 못 했는데 광화문 분향소를 정리한다는 것이 가족들에게는 힘이 든다”면서 “하지만 광화문광장은 시민의 공간임을 잘 알기에 이안식을 받아들인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영정을 옮기는 절차가 진행됐다. 사회자가 고인을 호명하면 희생자 가족이 나와 영정을 받았다. 사회자가 단원고 반별로 희생자들을 한 명씩 호명하자 유가족들은 눈물을 터뜨렸다. 영정은 서울시청 신청사 지하 서고에 임시 보관될 예정이다.

분향소 천막 14개 동은 오는 18일 오전 10시 철거된다. 철거가 끝나면 이곳에는 ‘기억·안전 전시공간’이 마련된다.


박석 서울시의원 “우이방학 경전철 기공식 개최 환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지난 24일 방학사계광장에서 열릴 예정인 우이신설 연장선 도시철도 건설사업 기공식 개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우이신설 연장선은 솔밭공원역에서 1호선 방학역까지 총 3.93㎞ 구간, 3개 정거장을 신설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4690억원 규모이다. 박 의원은 “우이방학 경전철은 2011년 예비타당성조사 완료 후 10여 년 넘게 사실상 답보 상태였던 주민 숙원사업”이라며 “‘임기내 착공’을 공약으로 걸고 당선된 지 3년 만에, 2023년 수요예측 재조사 완료, 2024년 기본계획 승인 및 중앙투자심사 완료, 2025년 시공사 선정과 오늘 기공식까지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주민들과의 약속을 지키게 되어 매우 뜻깊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 의원은 사업 추진 단계마다 서울시 및 관계부처와 긴밀하게 협조하며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관계부처 반대가 가장 큰 고비였지만 포기하지 않고 협의를 이어가 원안을 지켜낸 것이 착공까지 이어진 결정적 계기였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 의원은 “민자방식 지연, 단독입찰로 인한 유찰 등 난관 속에서도 발주 방식 조정과 공사비 현실화 등 해결책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우이방학 경전철 기공식 개최 환영”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