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연수 가이드 폭행’ 예천군의회 전 의원 ‘의원제명 효력정지 신청’ 기각

‘해외연수 가이드 폭행’ 예천군의회 전 의원 ‘의원제명 효력정지 신청’ 기각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05-04 09:58
수정 2019-05-04 09: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종철 경북 예천군 의원이 12월 23일 외국 연수 중 버스 안에서 가이드를 폭행하는 상황이 담긴 CCTV 장면. 2019.1.9
박종철 경북 예천군 의원이 12월 23일 외국 연수 중 버스 안에서 가이드를 폭행하는 상황이 담긴 CCTV 장면. 2019.1.9
해외 연수 도중 가이드를 폭행하고 접대부가 나오는 술집을 가자고 하는 등 물의를 빚고 제명당한 경북 예천군의회 전 의원들이 의회를 상대로 낸 ‘의원제명결의 처분 효력 정지 신청’을 법원이 기각했다.

대구지법 제1행정부(부장 박만호)는 박종철·권도식 전 예천군의회 의원들이 낸 신청을 기각했다고 4일 밝혔다.

신청이 기각되면서 군의원직 회복 여부는 본안 소송인 ‘의원제명의결 처분 취소소송’에서 가려지게 됐다.

이 소송 기일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박종철 전 의원 등 예천군 의원 9명은 지난해 12월 미국 동부와 캐나다로 연수를 떠났다. 연수 과정에서 박종철 전 의원(당시 자유한국당 소속)은 현지 가이드에 불만을 품고 버스에서 가이드에게 주먹을 휘둘렀다.

무소속 권도식 전 의원은 가이드에게 노래방 접대부를 불러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예천군의회는 사회적 물의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박종철·권도식 전 의원을 제명했다. 자유한국당도 당 차원에서 박종철 전 의원에 영구입당불허 조치를 내렸다.

이에 두 전직 의원은 지난달 초 법원에 효력 정지 신청과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박종철 전 의원 등의 대리인은 지난달 18일 열린 의원제명결의 처분 효력 정지 신청 심리에서 “가이드 폭행 등 징계 사유가 있었던 것에 대해 다투지 않지만 ‘제명’까지 할 사유는 아니다”라면서 효력 정지를 인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예천군의회 대리인은 “의회는 군민의 의사를 존중할 수밖에 없다. 신청인들이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군의회가 군민의 신뢰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맞섰다.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양천에서 만난 감동의 밤,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참석

서울시의회 시의원 아이수루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비례)이 지난 14일 양천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국립 클래식 음악 실내악단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행사에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행사의 사회는 김병찬 아나운서가 맡았으며, 곡 배경, 작곡가의 스토리를 비롯해, 카자흐스탄의 음악적 특징 등을 내실있게 표현하고, 깊이를 잃지 않는 멘트로 전달해 공연 몰입도를 높여주기도 했다.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개막식은 ▲천동희 이사장((재)양천문화재단) 환영사를 비롯해, 본 공연의 예술감독인 ▲가우카르 무르지베코바 감독(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예술감독) ▲누르갈리 아르스타노프 대사(주한 카자흐스탄 대사) ▲아이수루 의원(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해 공연 초미의 성대한 개막을 알렸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아이수루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이렇게 멋진 무대에 여러분과 함께 음악으로 만날 수 있어 행복하다”면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서울까지 먼 길을 와주신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여러분에 진심으로 환영의 인사를 표한다”는 말을 건넸다. 그러면서 “오
thumbnail -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양천에서 만난 감동의 밤, ‘카메라타 카자흐스탄 실내악단 공연’ 참석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