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경복궁 앞을 지나고 있는 사직로의 우회로 개설이 확정됐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자료: 서울시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자료: 서울시
서울시는 지난 26일 제6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세종로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 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에 수정가결된 대상지는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 세종로 주변 약 20만 8000㎡다. 1980년대부터 지구단위계획(당시 도시설계구역)으로 관리돼왔던 구역이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계획 등과 연계해 세종로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편입되면서 경복궁 앞 사직로의 우회로 개설이 가능해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요 간선도로인 사직로 변경에 따라 주변 공공청사, 광장 등의 변경이 확정됐다”면서 “광화문 일대의 역사성을 살려 시민 중심의 대표 공간으로 광장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1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설계안을 발표했다. 설계안에 따르면 2021년 5월 완공을 목표로 하는 새 광화문광장은 세종문화회관 쪽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전체 면적이 기존 1만 8840㎡에서 6만 9300㎡로 약 3.7배 늘어난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