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은 “학생들에게 혜택을 줌과 동시에 극심한 재정난을 겪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재정적 지원에 그 취지가 있어 의도가 부적절하다고 할 수 없으나 등록금 반환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우리의 등록금이 이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인가에 의문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은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변동된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등록금 반환에 대한 현재 계획을 학생들에게 공지하라”고 요구했다.
교육부와 대학은 등록금 반환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공표함과 동시에 교육부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면 대학은 학생들과 지급방안 논의를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학생들 역시 오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발급·사용 가능한 쿠폰 액수가 1만원으로 확인되자 실망스럽다는 반응이다.
등록금이 절반 수준인 사이버대학 보다 수업의 질은 낮은데 생색내기 소액 쿠폰으로 등록금 반환 요구를 희석시키려는 것 같아 기가 찬다는 입장이다.
전주대가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학업장려 장학금으로 전교생에게 10만원씩 현금을 지급한 것과도 대비돼 불만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쿠폰도 학부(과) 사무실 직접 방문해야 받을 수 있어 비대면 수업을 받는 학생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았다는 비난이 나온다.
전북대 신입생 A군은 “국립대는 사립대에 비해 등록금이 싸긴 하지만 1만원 쿠폰 제공은 등록금 반환요구에 물타기를 하고 놀림을 당하는 기분”이라며 “쿠폰을 받기 위해 학교에 가는 교통비도 안되는 만큼 차라리 받지 않는 것이 낫겠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