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음식 준비로 근육통, 같은 부위 파스 계속 붙이지 마세요”

“추석 음식 준비로 근육통, 같은 부위 파스 계속 붙이지 마세요”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0-09-24 16:34
수정 2020-09-24 16: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추석 제사상.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추석 제사상.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명절 연휴 음식 준비로 근육통이 생겼다고 같은 부위에 파스를 계속 붙이지 마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4일 추석 연휴(9월 30~10월 4일)를 앞두고 파스, 소화제의 올바른 사용 방법 등을 담은 의약품 안전 정보를 공개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관절을 삐어 부기가 올라오면 통증을 완화하는 ‘쿨파스’를 사용하는 게 좋다. 부기가 빠진 후 통증이 계속되면 ‘고추엑스성분’이 함유돼 통증 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핫파스’를 사용해야 한다. 파스는 같은 부위에 계속 붙이면 안 되고 가려움증, 발진 등이 생기는 경우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소화제는 위장관 내 음식을 분해하는 ‘효소제’와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는 ‘위장관 운동 개선제’로 나뉜다. 효소제 소화제는 사람에 따라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하고, 위장관 운동 개선제는 일정 기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장기간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타이레놀 원료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감기약이나 두통약은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명절 기간 과음했다면 복용을 피해야 한다. 어린이도 아세트아미노펜을 체중이나 나이에 맞지 않게 많은 양을 복용하거나 복용 간격을 지키지 않으면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감기약을 먹는 경우 졸릴 수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은 하지 말아야 한다.

해열제 주성분 ‘이부프로펜’도 위를 자극하거나 콩팥 기능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가 토하거나 설사하는 등 탈수 위험이 있을 때는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의약품의 올바른 사용법을 참고해 국민 모두가 건강한 명절 연휴를 보내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