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부터 주거지원, 사회출발 자산 형성, 건강증진 등 다양

2020년 6월 18일 울산시청에서 열린 ‘제1회 청년정책위원회 회의’. 연합뉴스.
전국 지자체들이 일자리와 주거·교육 지원 등 청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20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은 올해 청년 정책 비전을 ‘기(氣) 사는 울산 청년, 다시 뛰는 청년 울산’으로 정하고 총 585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창출 등 65개 세부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청년 일자리 확대와 역량 강화, 청년 창업 활성화, 청년 주택 공급 확대, 청년 전·월세 비용 경감, 사회 출발 자산 형성, 청년 건강 증진, 청년 취약계층 지원 확대 등을 추진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코로나19 및 지역 주력산업의 약세 등으로 청년의 실업, 취업 등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며 “올해는 청년정책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반영돼 청년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저성장과 고용불안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주거든든 패키지’사업을 추진한다. 부산시가 추진하는 청년 정주 여건 개선사업은 ▲전세보증금반환 보증료 ▲월세 ▲머물자리론 ▲신혼부부 주택융자·대출이자 4개 영역에 63억원을 투입해 총 7100여명(세대)을 지원한다.
전남 영광군도 전국 기초 지자체 중 처음으로 ‘청년 일자리장려금’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영광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관내 중소기업에 취업 시 지자체가 대기업과의 임금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일정 기간 재정을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기업이 해당 조건의 청년을 정규직으로 고용하면 영광군이 3년간 청년은 1800만원, 기업은 360만원을 지원한다.
충남 청양군은 전국 기초단체 가운데 최초로 청년수당 지급조례 제정에 나섰다. 청양군은 내달 조례가 제정되면 내년 1월부터 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다. 청년수당 지원대상은 만 25세 때 60만원, 만 35세 때 60만원으로 총 120만원이 지원된다. 또 만 18세에서 만 45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면접수당, 취업성공수당, 근속수당으로 구성된 취업수당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규모는 1인 최대 250만원이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