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타격’에 휘청인 비정규직…尹 정부에 고용안정·정규직화 촉구

‘코로나 타격’에 휘청인 비정규직…尹 정부에 고용안정·정규직화 촉구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2-04-26 18:07
수정 2022-04-26 18: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정규직 노동자 2000여명 설문조사코로나19 발생 이후 비정규직 노동자 5명 중 1명꼴로 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대다수는 차기 정부에서도 노동자의 처우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비정규직 이미지. 연합뉴스
비정규직 이미지. 연합뉴스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투쟁은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환경·코로나19 직장생활 변화·새 정부 노동정책 등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5~20일 비정규직 노동자 21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전체 응답자의 67.2%(1428명)는 저임금과 고용 불안으로 직장 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급여 수준(56.8%)이 가장 많았으며 고용불안(25.8%)이 뒤를 이었다. 현재 고용 상태에 대해 74.9%(1590명)는 “고용이 불안하다”고 답했으며 77.1%(1637명)는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고 했다.

2020년 1월 코로나19 발생 이후 본인의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22.9%에 달했다. 그리고 10명 중 1명 이상(11.3%)은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을 경험한 적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확인한 적 있다는 응답은 39.6%(841명)였는데 격리 기간 중 연차휴가 외의 추가적 유급휴가나 휴업으로 처리했다는 응답은 59.7%(502명)였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노동자 처우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2.3%(1749명)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처우가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7.7%에 그쳤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새 정부가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응답자의 80.6%(중복응답)가 ‘고용안정·비정규직 정규직화’를 꼽았으며 ‘최저임금·연봉 인상’도 응답자의 50.3%가 우선 과제로 택했다.



이들 단체는 다음달 새 정부 출범에 앞서 29~30일 서울 도심에서 1박 2일 노숙투쟁을 할 계획이다. 이들은 29일 종로구 전태일다리에서 시작해 도심에서 하룻밤을 보낸 뒤 30일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종로구 보신각까지 행진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