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년 역사 을지면옥 이전에 소식 듣고 찾아온 시민들 아쉬움에 발 못 떼 “늘 같은 자리서 같은 맛을 기대했는데 허탈” 주변 상인 “노포 분위기 그대로 갈까” 우려
이미지 확대
26일 서울 중구 을지면옥에 영업 종료 안내문이 붙어 있는 가운데 인부들이 집기를 빼내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2구역 재개발 시행사가 을지면옥을 상대로 낸 ‘부동산명도단행가처분’에서 법원이 1심을 뒤집고 시행사의 손을 들어주면서 을지면옥은 25일자로 영업을 종료, 새로운 장소를 찾아 이전할 계획이다. 2022. 6. 26 박윤슬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6일 서울 중구 을지면옥에 영업 종료 안내문이 붙어 있는 가운데 인부들이 집기를 빼내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2구역 재개발 시행사가 을지면옥을 상대로 낸 ‘부동산명도단행가처분’에서 법원이 1심을 뒤집고 시행사의 손을 들어주면서 을지면옥은 25일자로 영업을 종료, 새로운 장소를 찾아 이전할 계획이다. 2022. 6. 26 박윤슬 기자
재개발 여파로 37년 된 오랜 평양냉면집 ‘을지면옥’이 25일 영업을 중단하면서 주변 노포는 물론 시민들도 아쉬운 기색을 감추지 않고 있다.영업 종료 이튿날인 26일 을지면옥 입구에는 식탁과 의자 등을 옮기려는 트럭 행렬로 분주했다. 가게 앞에는 냉면을 삼던 대형 솥과 화구, 불판 등 철거된 주방 자재가 쌓여 있었다.
영업 종료 소식을 듣고 강릉에서 찾아왔다는 김은봉(53)씨는 “서울에서 살았던 젊은 시절 냉면과 수육을 맛있게 먹었던 기억에 왔는데 이미 문을 닫은 걸 보고 발을 못 떼고 있다”며 “이 동네의 역사 자체인 노포가 재개발과 임대료 상승으로 사라지지 않도록 서울시가 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을지면옥이 있던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2구역은 2017년 재개발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2019년부터 보상과 철거 절차가 진행됐다. 을지면옥은 재개발 시행사와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소송전을 벌이다 지난 14일 부동산 명도 단행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며 새로운 장소로 떠나게 됐다.
서울 토박이로 초창기부터 찾았다는 이정일(67)씨는 “부친이 이북 출신이라 어릴 때부터 이곳을 찾았다”며 “옛날 풍경은 하나씩 사라지고 네모 반듯한 아파트촌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니 서글프다”고 말했다.
을지면옥이 영업을 종료하고 각종 설비를 철거하는 모습을 지켜보던 이대현(77)씨는 “얼마 전 별세한 송해 선생의 단골집이고 늘 이 자리에서 언제나 같은 맛을 선보이던 곳이라 없어진다니 참 허탈하다”고 아쉬워했다.
이미지 확대
26일 서울 중구 을지면옥에 영업 종료 안내문이 붙어 있는 가운데 인부들이 집기를 뺴내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2구역 재개발 시행사가 을지면옥을 상대로 낸 ‘부동산명도단행가처분’에서 법원이 1심을 뒤집고 시행사의 손을 들어주면서 을지면옥은 25일자로 영업을 종료, 새로운 장소를 찾아 이전할 계획이다. 2022. 6. 26 박윤슬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6일 서울 중구 을지면옥에 영업 종료 안내문이 붙어 있는 가운데 인부들이 집기를 뺴내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2구역 재개발 시행사가 을지면옥을 상대로 낸 ‘부동산명도단행가처분’에서 법원이 1심을 뒤집고 시행사의 손을 들어주면서 을지면옥은 25일자로 영업을 종료, 새로운 장소를 찾아 이전할 계획이다. 2022. 6. 26 박윤슬 기자
을지로의 터주대감 격이던 을지면옥의 이전 소식에 주변 상인 역시 아쉬운 기색을 내비췄다. 인근에서 50년 넘게 콩국수 가게를 운영해온 서은수씨는 “어머니와 저까지 2대가 청춘을 바쳐 지금의 골목을 만들어왔다는 자부심이 있어 을지면옥의 이전 소식이 남 일 같지 않다”며 “외국인도 옛 서울의 정취를 느끼겠다고 찾아올 만큼 이 동네의 역사와 전통이 있는 공간인데 이전했을 때 그 분위기를 그대로 가져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세운정비촉진지구 주변의 다른 식당 역시 안타까운 마음은 마찬가지다. 골뱅이집을 운영하는 황모씨는 “평양냉면집과 노가리 골목, 골뱅이 골목이 서로 1차, 2차 손님을 주고받으며 상생하던 곳”이라며 “재개발 여파가 이곳까지 올까 걱정되기도 한다”고 우려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