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 유럽 최대 스페인 지하 빗물 터널 방문… “좋은 연구 사례”

오세훈 서울시장, 유럽 최대 스페인 지하 빗물 터널 방문… “좋은 연구 사례”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2-10-28 12:06
수정 2022-10-28 1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페인 마드리드 아로요프레스노 빗물 저류조(왼쪽)와 집수관 전경. 서울시 제공
스페인 마드리드 아로요프레스노 빗물 저류조(왼쪽)와 집수관 전경.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 만사나레스 강 인근에 있는 유럽 최대 지하 빗물 저류조이자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인 ‘아로요프레스노 빗물 저류조’를 찾았다.

서울시는 지난 8월 기록적인 폭우를 계기로 방재성능 목표를 10년 만에 상향하고, 2027년까지 침수에 취약한 강남역, 광화문, 도림천 일대 3곳에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을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마드리드시는 만사나레스 강을 따라 설치한 총 36개의 빗물 저류조와, 이곳과 연결되는 대규모 집수관(지름 6.7m·연장 3㎞)을 통해 도심지 침수를 예방하고 있다. 집수관은 서울시가 설치하고자 하는 대심도 빗물배수터널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36개 빗물 저류조는 올림픽 수영장 391개를 합한 규모로, 저류 능력은 약 132만㎥다.

오 시장이 찾은 아로요프레스노 빗물 저류조는 만사나레스 강 상류에 있으며 축구장 5개를 합친 규모(면적 3만 5000㎡·저류 용량 약 40만㎥)다. 비가 내리면 1차적으로 이곳에 빗물을 저장했다가 집수관을 통해 강 하류에 있는 빗물 저류조로 보낸 후 강으로 방류한다.

오 시장은 시설을 둘러본 후 “생각보다 규모가 매우 큰 지하 시설물이라 놀랐다”며 “우리도 최근 장마철을 분류하기 어렵고 단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식으로 강우 유형이 바뀌었다는 점에서 벤치마킹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쿠알라룸푸르, 도쿄와 함께 굉장히 좋은 연구사례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오 시장은 또 “아로요프레스노의 경우 홍수 예방 기능도 중요하지만 저류된 빗물이 빠져나가는 만사나레스 강 수질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수시설에 매우 신경을 쓴 점이 인상 깊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