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버스료 오른다… 4월부터 300원씩 인상

지하철·버스료 오른다… 4월부터 300원씩 인상

옥성구 기자
입력 2022-12-29 22:14
수정 2022-12-30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년 공공요금 줄인상 ‘빨간불’

서울지하철 1550원·버스 1500원
‘따릉이’도 1000→2000원 유력
“교통비마저 올라… 알바 뛸 판”
이미지 확대
이르면 내년 4월부터 서울 지하철과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이 300원 정도 오른다. 내년도 전기·가스 요금 인상은 이미 정부가 기정사실화한 상태다. 내년도 서민 경제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고물가 시대를 한탄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악화된 대중교통 경영 상황을 고려해 8년 만에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요금 인상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인상폭은 지하철과 버스 모두 300원이 유력하다.

시는 2015년 6월 지하철, 버스 기본요금을 각각 200원, 150원씩 인상했다. 300원씩 인상될 경우 지하철은 카드 기준으로 1550원, 시내버스는 1500원이 된다. 현금 기준으로는 지하철 1650원, 시내버스 1600원으로 오른다. 시는 관련 절차를 거쳐 이르면 내년 4월 말부터 요금을 조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공공자전거인 ‘따릉이’ 요금체계를 상향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1회 이용권을 신설하고 1일권 1시간 이용요금을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리는 방안이 유력하다. 180일권 이용 요금은 1만 5000원에서 3만 5000원으로 인상될 전망이다. 서민들의 발이 됐던 교통수단들에 줄줄이 가격 인상 파고가 몰아치는 셈이다.

전기·가스요금 인상은 이미 정부가 공인한 ‘예정된 미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회에 한전의 정상화를 위해 내년 한 해 전기요금이 ㎾h당 51.6원 인상돼야 한다고 보고했다. 가스요금은 내년 메가줄(MJ)당 최대 10.4원 인상하는 방안을 제출했다.

서민 경제에 부담을 주는 대출 금리는 내년에도 인상 기조가 불가피한 모습이다. 당장 내년 1월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내년 1월 설 성수품 수요 등이 몰리며 물가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을 한층 더 키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기·가스요금에 이어 대중교통 요금까지 공공요금 인상안이 연일 제시되면서 시민들 사이에선 볼멘소리가 나왔다.

대학 입학을 앞둔 임은지(20)씨도 “지금도 부모님께 받는 한 달 용돈 40만원 중 7만원 정도가 지하철 요금으로 나가 부담이 적지 않다”며 “대학 생활을 시작하고 나면 교통비가 더 많이 들 텐데 요금까지 오른다면 아르바이트를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적자 운영이 오랜 기간 이어졌기에 요금 인상을 감수할 수 있다며 체념하는 반응도 있었다. 취업준비생 송모(26)씨는 “지하철을 탈 때 매년 적자로 인해 경영난이 크다는 서울교통공사의 포스터를 봤는데 운임 요금을 올리지 않아 의아했다”며 “이번 기회에 요금 인상과 함께 무임승차 기준 재정비 등을 통해 경영난을 해소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2022-12-3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