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에 호우주의보, 마포에 52.0㎜ 비…시속 55㎞ 강풍 주의

서울 전역에 호우주의보, 마포에 52.0㎜ 비…시속 55㎞ 강풍 주의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6-29 15:07
수정 2023-06-29 15: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함평 수문관리원 숨진 채 발견
올해 장마 첫 인명 피해 사례
인천서 주택 침수, 맨홀 열려

이미지 확대
장마 찾아온 서울
장마 찾아온 서울 서울 전역에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역 인근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2023.6.29 연합뉴스
30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30~60㎜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리겠다.

기상청은 29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강원내륙·산지, 충청권, 전북서부, 경북북부내륙에 호우특보를 발효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서울 시내 모든 하천의 출입을 통제했다. 오후 2시 기준으로 인천 옹진(덕적북리) 76.9㎜, 강원 춘천(북산) 73.5㎜, 경기 화성(전국항) 62.5㎜, 김포(대곶) 59.0㎜, 서울(마포) 52.0㎜의 비가 내렸다. 이번 비는 30일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남부지방은 30일 낮부터 밤까지, 제주는 30일 아침부터 밤까지 시간당 최대 60㎜의 비가 예상된다.

30일까지 제주 산지에는 바람이 순간풍속 90㎞/h(25m/s) 이상으로 매우 강하게 불고, 그 밖의 전국 대부분 지역에도 순간풍속 55㎞/h(15m/s) 이상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다.

폭우 피해를 막으려다 실종된 전남 함평군 수문관리원 오모(67)씨는 이날 오전 10시 37분쯤 함평군 엄다면 한 펌프장 교각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올해 첫 번째 장마 피해 사망자다. 지난해부터 농어촌공사가 위촉한 수리시설 관리원으로 활동한 오씨는 지난 27일 저녁 집중호우로 하천물이 불어나자 수문 점검을 위해 엄다천 인근으로 남편과 함께 나갔다가 실종됐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인천에서는 담벼락이 무너지고 주택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벽돌로 된 담벼락이 무너져 빌라 공동 출입문 유리가 일부 파손되는가 하면, 폭우로 집 안이 침수돼 소방당국이 배수 지원에 나섰다. 인천 미추홀구 문학동과 계양구 작전동 도로에서는 각각 맨홀이 열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