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8%만 키오스크 활용 가능…67.2% “정보화 적응 어렵다”

노인 18%만 키오스크 활용 가능…67.2% “정보화 적응 어렵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11-15 14:44
수정 2024-11-15 14: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말로 주문하는 키오스크(경기도 제공)
말로 주문하는 키오스크(경기도 제공)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거나 전자상거래,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노인이 전체 노인의 2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75세 이상 노인들은 10%에도 미치지 못해 고연령 집단의 취약성이 두드러졌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3 노인실태조사’를 재분석한 ‘노인의 여가 및 정보화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노인 중 전자상거래가 가능한 노인은 12.0%, 금융거래는 20.2%, 키오스크 활용 주문과 접수가 가능한 노인은 17.9%에 그쳤다. 키오스크의 경우 65~69세는 3명 중 1명(35.0%)꼴로 작동법을 알았다. 그러나 70대에 들어선 순간 절반 이하로 꺾여 70~74세는 15.2%, 75~79세는 8.3%, 80~84세는 2.3%만이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었다.

휴대전화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메시지 받기(83.6%)와 보내기(74.7%)는 노인 상당수가 할 수 있었다. 하지만 85세 이상의 70%는 이런 기본적인 기능조차 활용하지 못했다.

이 밖에도 65~69세는 정보 검색 및 조회(78.3%), 사진 동영상 촬영(79.0%), 동영상 보기(65.7%), 영상 통화(64.8%) 등의 기능을 약 60% 이상이 활용할 수 있는 반면 70~74세는 40% 이상, 75~79세는 30% 이상, 80~84세는 20% 이상, 85세 이상은 10% 내외로 활용할 수 있어 연령군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노인의 67.2%는 빠르게 발전하는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85세 이상은 88.3%가 적응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집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노인의 비율도 낮았다. 노인 가구의 46.5%만이 가정에서 인터넷 이용이 가능했으며, 85세 이상은 21.6%만 가능했다. 스마트폰 보유율도 85세 이상은 35.7%로 매우 낮았고, 컴퓨터는 전체 노인의 20.6%만 갖고 있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세진 보사연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이런 상황은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대한 적응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며 “노인들이 정보화 기기에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우선 마련돼야 하는데, 공공 와이파이 이용 자체가 노인에게는 도전일 수 있으니 환경 조성과 함께 와이파이 활용, 블루투스 연계 등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