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폭탄
24일 경북 의성군 산불현장에 투입된 산림청 초대형 산불진화헬기 S-64가 물폭탄을 쏟아붙고 있다. (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24. 뉴스1
산림청이 1200억원 넘는 야간 산불 진화헬기를 도입하고도 관련 자격을 보유한 조종사가 없어 묵혀두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산림청 산불 진화헬기 50대 중 야간 운용이 가능한 기종은 수리온 3대와 S-64 4대 등 총 7대다.
이 중 S-64는 산림청이 2018년부터 총 1220억원(8563만 달러)을 들여 미국 에릭슨사로부터 연간 1대씩 총 4대를 순차 도입했다. S-64는 담수량 8000ℓ 규모의 대형 헬기로 야간 운용도 가능하다.
하지만, S-64가 야간에 비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격을 취득해야 하는데, 이를 취득한 조종사가 없어 사실상 무용지물인 상태다. 지난 4월 발생한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당시에도 수리온 2대만 야간 진화에 투입됐다. 수리온의 담수량은 2000ℓ로 S-64와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산림청은 “올해 7월부터 11월까지 야간산불진화 임무를 위한 조종사를 양성해 내년 2월부터 S-64를 야간산불진화에 투입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2018년 S-64 가 최초 도입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종사 양성이 지지부진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희용 의원은 “대형산불이 발생한 경우 주간과 야간을 가리지 않고 24시간 진화에 나서야 하는데 산불 진화헬기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며 “산림청은 S-64 가 내년 봄철에는 야간에도 기동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해 빈틈없는 산불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