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을 돕는 일을 하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찰관이 3년 만에 순직을 인정받았다.
이미지 확대
가족 그 소중한 이름 세월호 참사 발생 나흘째였던 2014년 4월 19일 오후 전남 진도실내체육관에 모인 실종자 가족들이 실낱 같은 희망을 붙잡고 애타게 가족의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DB 자료사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가족 그 소중한 이름
세월호 참사 발생 나흘째였던 2014년 4월 19일 오후 전남 진도실내체육관에 모인 실종자 가족들이 실낱 같은 희망을 붙잡고 애타게 가족의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DB 자료사진
진도경찰서의 고 김모(사망 당시 49세) 경감의 사망이 최근 공무원연금관리공단으로부터 ‘공무상 사망’으로 인정받아 순직을 인정받았다고 연합뉴스가 29일 보도했다.
고 김 경감은 2014년 4월 16일부터 두 달 넘도록 진도 실내체육관과 팽목항에서 상주하며 희생자 시신을 확인해 유가족에게 설명해주고, 유가족들의 고충을 범정부사고대책본부에 전달하는 일을 했다.
당시 그는 아내에게 전화로 ‘(희생자들이) 안쓰러워 못 보겠다’고 울며 호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 경감은 2014년 6월 26일 밤 9시 55분쯤 진도대교에서 투신해 세상을 떠났다.
경찰은 당시 경위였던 그의 계급을 1계급 특진하고 순직 처리를 추진했다. 하지만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은 김 경감이 생명과 재산의 위험을 무릅쓰고 직무를 수행하다가 사망한 ‘위험 직무 순직’이나, 직무 수행 중 사고 및 관련 질병으로 숨진 ‘공무상 사망’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지난해 6월 서울행정법원이 고인의 죽음을 업무상 재해로 판결한 데 이어 지난달 항소심에서도 같은 판결이 나왔고, 공단이 상고를 포기하면서 김 경감의 순직 인정이 확정됐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