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심의 한 임대 사무실에 대마를 대량으로 재배해 1년간 7억원 상당을 판매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해외 유학시절 대마초를 구매·흡연한 전력을 가진 이들은 국내에서 수경재배 방식으로 대마초를 재배해 사진작가, 건축사, 요리사 등 주로 전문직 종사자에게 판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7월 부산 사상경찰서에 적발된 일당이 경남 합천의 한 야산에서 재배한 대마. 경찰은 4만 8000명분인 대마초 24㎏과 전자담배용 대마 농축액 16g, 대마 모종 163포기를 압수했다. 2017.7.14 사진=연합뉴스/부산 사상경찰서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7월 부산 사상경찰서에 적발된 일당이 경남 합천의 한 야산에서 재배한 대마. 경찰은 4만 8000명분인 대마초 24㎏과 전자담배용 대마 농축액 16g, 대마 모종 163포기를 압수했다. 2017.7.14 사진=연합뉴스/부산 사상경찰서 제공
부산 서부경찰서는 20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판매총책 A(40)씨, 자금책 B(40)씨, 제조책 C(36)·D(45)씨, 상습 대마 흡연자 등 12명을 구속하고 조직원과 단순 흡연자 20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은 2015년 8월부터 1년간 부산 수영구의 한 건물 사무실에서 재배한 대마초와 대마에서 추출한 ‘해시시 오일’ 등 7억원 상당을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판매총책 A씨가 가지고 있던 차명 은행계좌와 장부를 통해 이들의 대마 거래 규모를 추산했다. 경찰은 대마를 제조한 사무실에서 약 4000명이 동시에 피울 수 있는 대마초 2㎏도 압수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흙이 아닌 물과 영양분으로 키우는 수경재배로 대마를 대량 생산한 뒤 알선책과 매매책을 통해 서울·부산·대구 등으로 판매했다. 이들은 대마초 판매 수요가 많아지자 경기도의 한 농가를 임대해 대마초 비밀 생산기지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해외 유학생활 중 대마초를 흡연한 경험이 있었고, 경찰에 검거될 때까지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대마 재배·판매 조직으로부터 대마를 사서 피운 이들 역시 해외 체류 경험이 있는 사진작가, 건축사, 요리사, 디제이(DJ) 등 전문직이 대부분이다.
경찰은 외국으로 도피한 3명을 포함한 공범 6명을 뒤쫓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