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안과 무관. 지난해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모습. 2024.2.28 오장환 기자
올해 1월 출생아 수가 2만 394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출생아 수는 2만 3947명으로 전년 동월(2만 1461명) 대비 11.6% 늘었다.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1월 기준 최대 증가 폭이다. 출생아 수 자체도 2022년 1월(2만 4637명) 이후 3년 만에 최대치를 보였다.통계청은 이날 처음으로 어머니 연령별 출산율과 출산 순위별 출생아 구성비의 월별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30~34세(1990~1994년생) 여성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30대 초반 출산율은 81.1명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73.1명) 대비 8명 증가한 것으로, 2023년 1월(80명) 이후 2년 만에 80명대로 복귀했다.
1990년대 초반생들은 동갑내기들이 70만~73만대로, 1980년 후반대생(60만명대)이나 2000년대생(40~60만명대)보다 인구가 많다.
이들은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인 1964~1974년생들의 자녀로, 부모 세대 인구가 많은 게 자녀 세대로 메아리처럼 이어졌다는 뜻에서 ‘제2 에코붐’ 세대로 불린다.
1월 출생아들의 출산 순위별 비중을 따져보면, 첫째 자녀가 차지하는 비율은 62.1%로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p) 늘었고, 둘째 자녀도 31.2%로 0.3%p 증가했다.
반면 셋째아 이상은 0.7%p 감소했다. 30대 초중반에 결혼해, 첫 아이를 낳거나 둘째를 갖는 이들이 늘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1월 기준 사망자는 3만 9473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9% 증가해, 마찬가지로 1월을 기준으로 1984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