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필수 과목 지정… 대입 전형 간소화
올해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과·이과 구분 없이 똑같은 시험을 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017학년도부터 한국사는 문·이과 공통으로 수능 필수과목이 된다. 대학별로 10여개에 이르던 대입전형 가짓수는 2015학년도부터 대학마다 수시 4개, 정시 2개 이내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간소화된다. 난이도에 따라 A·B형으로 나누는 수준별 수능의 경우 영어 영역은 올해 한 차례 실시로 끝내고 내년부터 A·B형 구분이 폐지된다. 국어·수학은 2016학년도 수능까지만 A·B형으로 나눠 치른다.
연합뉴스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을 발표한 후 2017학년도 수능 개편방안 3가지 중 문·이과 완전 융합안에 대해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교육부는 2017학년도 수능 개편을 위해 문·이과 계열별로 과목을 다르게 출제하는 현행 체제를 유지하는 방안(1안)을 포함해 세 가지 안을 제시했다. 문과 학생이 과학 과목을, 이과 학생이 사회 과목을 1과목씩 응시하는 문·이과 일부 융합안(2안)과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공통적으로 국어·수학·영어·사회·한국사·과학 과목을 학습하는 완전 융합안(3안)도 마련했다. 3안에서는 이과 학생만 배우는 수학 영역의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과목이 수능에서 제외된다. 교육부는 10월 말까지 공청회 등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세 가지 안을 논의한 뒤 2017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단 불필요한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 골격을 유지하는 1안을 최우선 검토 대상으로 정해 뒀다.
수능과 함께 또 다른 대입 핵심 전형요소인 학교생활기록부는 현행대로 상대평가제(9등급)를 유지한다. 내년 고 1부터 실시되는 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의 대입 반영은 2019학년도까지 유보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특수목적고나 자율고 학생들의 내신 불리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5년간 400억원의 개발 비용을 들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수능 영어 대체 방안도 시행 한 번 안 해 본 채 폐지했다. 교육부는 또 내년부터 수시 1, 2차를 통합해 9월 초에 한 차례만 원서를 받고,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 반영 제도와 수능 성적 위주 우선선발 제도를 완화·폐지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대입 수시전형 비중이 줄어들고 정시 및 논술 위주로 대입이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수도권 대학 중 수시 비중이 70% 이상 되는 곳도 많지만, 대입 간소화 정책으로 인해 수시 대 정시가 50 대 50 정도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필수로 되는 한국사와 논술 등 대학 본고사를 중심으로 사교육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한 입시업체 관계자는 “사교육 시장에는 최근 나오던 재수학원 매물이 철회될 정도의 희소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8-2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