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줄었지만 신고 효과 불신은 늘었다

학폭 줄었지만 신고 효과 불신은 늘었다

입력 2014-07-11 00:00
수정 2014-07-11 04: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교폭력과의 전쟁’ 선포 2년째

정부가 ‘학교폭력과의 전쟁’을 선포한 지 2년이 지나면서 학교폭력 발생 건수는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피해 신고의 효과에 대한 불신이 학년이 높아질수록 심해지고, 실제 피해 신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은폐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보완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과 공동으로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498만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피해를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의 1.4%로 지난해 2차 조사 때의 1.9%보다 0.5% 포인트 줄었다. 첫 조사인 2012년 1차 12.3%에서 2012년 2차 8.5%, 지난해 1차 2.2%로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피해를 당했다고 대답한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 2.4%, 중학교 1.3%, 고등학교 0.6%로 상급 학교로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학교폭력 피해 응답자의 78.4%는 피해 사실을 가족이나 학교, 친구, 상담센터 등에 알렸다. 신고 비율은 2012년 2차 74.3%, 지난해 1차 77%, 2차 76.1% 등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피해 사실을 알린 학생 중 ‘신고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33.9%에 불과했고 그나마 지난번 조사 때보다 7.3% 포인트가 떨어졌다. 반면 ‘신고 효과가 없었다’는 응답은 28.3%에서 33.1%로 오히려 4.8% 포인트나 늘었다. 특히 이 같은 학교폭력 신고에 대한 불신은 초등학교 31.2%, 중학교 32.7%, 고등학교 40.8%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급격히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신고해 봤자 소용없다’는 인식이 고착화됐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피해 학생들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처벌 수위가 낮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34.6%), 집단따돌림(17.1%), 신체폭행(11.6%), 사이버 괴롭힘(9.2%) 등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스토킹의 비중이 11%로 지난해 2차 때의 9%에서 2% 포인트 늘었다.

가해자는 ‘같은 학교 같은 학년’이 전체의 68.9%를 차지해 친구들 사이의 갈등이 학교폭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가해 이유로는 ‘장난으로’(28.4%)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피해 학생이 마음에 안 들어서’(21.1%), ‘상대방이 먼저 괴롭혀서’(18.9%), ‘이유 없음’(9.5%), ‘화풀이·스트레스’(5.0%) 등의 순이었다. 전반적인 수치 개선에도 불구하고 조사 자체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끊이지 않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계자는 “얼마 전 학교폭력으로 두 명이 사망한 진주외고의 경우 조사에서 단 한 명만 학교폭력을 신고했다”면서 “단체로 컴퓨터실에서 조사가 진행돼 조직적인 은폐가 이뤄질 개연성도 있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4-07-1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